목차
서문 = 5
일러두기 = 16

제1부 식민지기 조선동화집에 대한 심층적 연구
제1장 조선총독부 학무국 ''전설 동화 조사'' 보고서(1913)와『조선동화집』 = 19
1. 서론 = 19
2. 1913년 학무국 ''전설 동화 조사'' = 25
3. ''전설 동화 조사''(1913)에서『조선동화집』(1924)으로 = 29
4. 결론 = 46

제2장 1920년대 일본어 조선동화집의 개작 = 49
1. 서론 = 49
2. ''전설 동화 조사''(1913)와『朝鮮童話集』(1924)의 관련 = 52
3. 1920년대『朝鮮童話集』(1924)의 영향과 그 확산 = 57
4. 다치카와 쇼조의 실연동화집 = 67
5. 결론 = 76

제3장 재조일본인의 구연동화 활용과 전개 = 79
1. 서론 = 79
2. 근대 일본의 구연동화 전개 = 81
3. 경성일보와 구연동화의 활용 = 87
4. 사다 시코(佐田至弘)와 구연동화의 전개 = 92
5. 결론 = 102

제2부 식민지기 구비문학 연구의 전개
제4장 미와 다마키의『전설의 조선』과 동아시아 민속학자 = 107
1. 서론 = 107
2. 미와 다마키와『전설의 조선』의 간행 = 110
3.『전설의 조선』의 반향 = 113
4.『전설의 조선』과 동아시아 민속학자의 관심 = 114
5. 결론 = 121

제5장 나카무라 료헤이(中村亮平) 조선전설집의 개작 양상 = 123
1. 서론 = 126
2. 나카무라 동화지ㆍ전설집과 ''내선융화'' = 138
3. 전설집에 새로 수록된 제국전설 = 142
4. 제국전설의 개작 양상 = 153
5. 결론 = 155

제6장 근대 일본 설화연구자의『용재총화(慵齋叢話)』서승(書承) 양상 = 155
1. 서론 = 159
2. 다카기, 마쓰무라와 조선 문헌설화 = 165
3.『용재총화』의 재발견과 개작 양상 = 192

제7장 경성제국대학 부속도서관 장서와 법문학부 민요조사와의 관련 양상 = 195
1. 서론 = 195
2. 경성제대 부속도서관 어문학 장서 구성의 분석 = 197
3. 조선총독부 학무국의 조사와 그 계승 = 211
4.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의 민요채집 = 216
5. 결론 = 221

제8장 재조일본인과 조선 구비문학의 전개 = 224
1. 조선(인)이해를 위한 ''구비전승''의 관심과 채집 조사 = 224
2. ''조선동화집''의 간행과 그 의미 - 1920년대 = 231
3. 조선 향토지와 전설집의 확산 - 1930년대 = 240
4. 태평양전쟁기의 조선 동화ㆍ설화집 - 1940년대 = 247

보론
제9장 한일 설화 채집ㆍ분류ㆍ연구사로 본 손진태의『조선민담집』 = 257
1. 서론 = 257
2. 한일 설화의 채집과 그 의도 = 259
3. 손진태『조선민담집』의 선행연구 = 267
4.『조선민담집』의 ''문제접'' 재검토 = 271
5. 1920년대 연구의 총결산으로서의 권말 부록 = 283
6. 결론 = 286

제10장 신래현(申來鉉)과 ''조선향토전설'' = 289
1. 서론 = 289
2. 신래현의 전설집 = 295
3. 해방 전 신래현의 개작 양상 = 300
4. 신래현『조선향토전설』(1957)의 발간 = 304
5.「무영탑과 영지」에 대하여 = 306
6. 결론 = 312

참고문헌 = 314
수록 표목차 = 333
찾아보기 = 335
일본어 초록 = 347
초출일람 =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