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인사말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기획의 글 배원정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Ⅰ. 서예를 그리다 그림을 쓰다

시·서·화
문자추상
서체추상

논고
또다른 미술, 서예_김현권(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서예는 어떻게 현대미술 속으로 스며들었는가: 한국 현대미술가의 서예 인식 _김이순(홍익대학교 교수)


Ⅱ. 글씨가 그 사람이다: 한국 근현대 서예가 1세대들

소전 손재형(1903-1981)
서예비평 근대 서예의 미학을 제시하다_이완우(한국학대학원 교수)
석봉 고봉주 (1906-1993)
서예비평 방촌위에 돌 꽃을 새겨내다_권상호(문학박사, 문예평론가)
소암 현중화 (1907-1997)
서예비평 자연에서 서예의 묘를 찾다_김찬호(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미술평론가)
원곡 김기승 (1909-2000)
서예비평 특유의 서풍을 창안하고 응용하다_박병천(경인교육대학교 명예교수)
검여 유희강(1911-1976)
서예비평 불굴의 예술혼을 펼치다_전상모(경기대학교 초빙교수)
강암 송성용(1913-1999)
서예비평 선비서화가의 면모를 보이다_장지훈(경기대학교 교수)
갈물 이철경(1914-1989)
서예비평 한글 궁체 수호하다_박정숙(경기대학교 초빙교수)
시암 배길기(1917-1999)
서예비평 아정한 풍격을 지키다_곽노봉(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교수)
일중 김충현(1921-2006)
서예비평 국한문 서예의 새 마당을 열다_김수천(원광대학교 서예문화연구소 소장)
철농 이기우(1921-1993)
서예비평 붓과 칼로 녹여낸 구수한 큰 맛_성인근(경기대학교 초빙교수)
여초 김응현(1927-2007)
서예비평 이론을 겸비한 신고법을 보이다_소도옥(중국 하북 지질대학교 교수)
평보 서희환(1934-1995)
서예비평 한글서예의 새 지평을 열다_김남형(계명대학교 명예교수)
논고 한국 근현대 서예의 흐름_김양동(계명대학교 석좌교수)
논고 전람회를 통해 본 한국 근·현대 서예의 전개와 양상_전상모(경기대학교 초빙교수)


Ⅲ. 다시, 서예: 현대서예의 실험과 파격
논고
21세기 서예의 재발견_장지훈(경기대학교 교수, 서울시 문화재위원)


Ⅳ. 디자인을 입다 일상을 품다


논고
한국 현대서예의 확장성_김찬호(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수, 미술평론가)
논고 글씨에서 피어나는 활자 이용제(계원예술대학교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