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장 : 영어가 한국을 국제사회에 알리는 시대

제2장 : 세 가지 한국어에 따라 구분된 서양인들의 한국 시가 기록
1. 헐버트의 구전 시가 기록
1) “Korean Poetry”와 구어 중심주의
2) 구전 시가의 서사 구조 : 〈낙화암 전설〉과 〈에밀레종 설화〉
3) 구어와 문어의 분리와 서양인들의 민속론
2. 밀러의 한글 시가 기록
1) “A Korean Poem”과 한글 중심주의
2) 한글 시가의 운율과 소리 이미지 : 「우미인가」
3) 한글 문어 형성과 서양인들의 한글론
3. 게일의 한시 기록
1) “Korea Literature”와 한문 중심주의
2) 한시의 역설과 아이러니 : 이규보의 한시
3) 근대어의 생성과 서양인들의 한문학 작가론

제3장 : 가창과 가집에 따라 구분된 서양인들의 한국 시가 기록
- The Korean Repository에 소개된 영역 시조
1. 근대어에 의해 은폐된 한국 시가의 전통
2. 근대 초기 서양인들의 시조 영역
1) 시조창을 영역한 헐버트
2) 시조집을 영역한 게일
3. 서양인들이 기록한 두가지 성격의 시조

제4장 : 고전과 근대에 따라 구분된 서양인들의 한국 시가 기록
? 게일의 1923년 문학론 “Korean Literature”
1. 서양인들의 “Old korea”와 “New korea”
2. 게일이 영역한 근대시와 고전시
1) 근대시로서 오상순의 「힘의 崇拜」
2) 고전시로서 이규보의 「十月大雷雹與風」
3. 게일의 영역시와 테니슨의 In Memoriam

참고자료 / KOREAN LITERATURE (BY J.S.GALE)
참고문헌
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