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제1장 『음식디미방』의 위상과 가치
1. 『음식디미방』의 위상
2. 『음식디미방』의 특징과 가치
3. 방문 텍스트의 언어적 특징과 가치
4. 『음식디미방』의 가치

제2장 『음식디미방』, 누가 언제부터 무엇을 연구하였을까?
1. 세상에 널리 알려지기까지
2. 책의 명칭과 저자에 대한 연구
3. 장씨 부인의 생애에 대한 연구
4. 체재와 내용에 대한 연구
5. 앞으로 기대되는 연구 방향
제3장 『음식디미방』의 서지적 특징
1. 책의 형태와 특징 연구를 시작하며
2. 형태 서지
3. 구성 및 내용
4. 장서의 전래 경위
5. 서지적 특징
6. 앞으로의 연구 방향

제4장 『음식디미방』으로 보는 17세기 생활문화
1. 『음식디미방』 이해를 위한 전제
2. 『음식디미방』에 반영된 반가의 체통과 반가 여성의 삶
3. 『음식디미방』 등장의 역사적·문화적 배경
4. 『음식디미방』의 조리법과 식품 관리
5. 17세기 반가 생활사의 보고 『음식디미방』

제5장 『음식디미방』의 음식 조리법 연구
1. 음식 조리는 조선 여인의 덕목
2. 『음식디미방』의 편제와 특징
3. 『음식디미방』에 수록된 음식 내용
4. 『음식디미방』 조리법의 특징
5. 『음식디미방』 속의 식품과 그 가공
6. 이 뜻을 알아 이대로 시행하라

제7장 『음식디미방』의 양주법(釀酒法) 특성과 다른 문헌에 미친 영향
1. 『음식디미방』의 양주법(釀酒法) 특성 연구의 기준과 분석 방법
2. 조선시대 양주(釀酒) 관련 문헌에서 찾는 한국의 전통 양주법(釀酒法)
3. 『음식디미방』의 양주 횟수에 따른 양주법 특성 연구
4. 『음식디미방』의 양주 단계에 따른 주원료의 종류와 사용 빈도
5. 『음식디미방』의 주품별 양주 단계에 따른 주원료의 가공법
6. 『음식디미방』의 주품별 양주 단계에 따른 누룩의 종류와 사용 횟수
7. 『음식디미방』의 주품별 양주 단계에 따른 물의 종류와 사용 횟수
8. 『음식디미방』의 주품별 양주 단계에 따른 발효 기간
9. 『음식디미방』의 주품별 양주 시기에 대한 분석
10. 『음식디미방』의 주품별 최초 수록 문헌 및 수록 빈도수 분석
11. 『음식디미방』에 최초로 수록된 주품명 및 수록 빈도가 높은 주품별 유래와 특징

제8장 장씨 부인, 성인을 향한 지경(持敬)의 삶
-『음식디미방』의 배경으로서 가학 전통과 경(敬)의 실천-
1. 여중군자, 장씨 부인께 드리는 합당한 칭호
2. 유학의 공동체 자아론과 장씨 부인
3. 가학의 형성과 발전
4. 시댁의 가풍과 사회적 실천의 전통
5. 『음식디미방』과 지경의 삶
6. 성인의 길, 여자의 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