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부 <삼천리>와 근대 잡지의 새로운 시대
천정환, 초기 <삼천리>의 지향과 문화민족주의
이경돈, 삼천리의 ‘세’와 ‘계’
천정환, <삼천리>가 ‘기밀실’을 열었을 때
박용재, <삼천리>의 미디어 이벤트와 ‘재가공’된 조선

2부 국가 부재 시대의 정치와 <삼천리>의 정치 표상
이경돈, <삼천리>의 서사와 텍스트 정치
박숙자, 1930년대 민족주의의 논리와 속물적 내러티브
박숙자, ‘민족’과 ‘젠더’, 그 차이와 균열
손유경, <삼천리>에 나타난 인물 재현의 정치학

3부 1930년대 문학 장의 변동과 '삼천리'
유석환, 경쟁하는 잡지들, 확산되는 근대문학
박숙자, 기억의 제도화, 문학의 정전화
장성규, <삼천리>의 외국문학 수용과 소수자 문학의 기획
손유경, 나혜석의 구미 만유기에 나타난 여성 산책자의 시선과 지리적 상상력

4부 일제 말기 <삼천리>의 지향과 그 굴절
이지원, 전쟁, 친일, 파시즘 정서
김승구, 일제 강점 말기 지원병제와 김동환의 시국 대응
손유경, 일제 말기 위안 문화와 ‘삼천리’ 반도의 일상

논문의 원 출처
찾아보기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