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추천사
머리말
일러두기

제 1 장 [배움] 왜 지금 세종 리더십인가
제 1 절 세종의 리더십 교육 방법
세종 리더십에 대한 두 가지 오해
세종 리더십의 핵심인 소통, 그 방법으로서 스토리텔링
제 2 절 과학기술 성과의 국제적 비교
세종시대 성과를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이야기 하나: 측우기 발명 관련
이야기 둘: 의녀 제도
마무리
[세종리더십 실천]
[읽을거리] 리더십, 국가와 기업의 흥망성쇠를 가른다

제 2 장 [기록] 세종학, 어떻게 다가갈까
제 1 절 세종학의 의미와 특징
세종학이란?
세종학과 비슷하지만 다른 학문들
제 2 절 세종실록과의 만남
경복궁 앞 육조거리
세종이 정립한 ‘실록의 체제’
[읽을거리] 조선왕조사[正史] 편찬의 필요성

제 3 장 세종의 민본 사상과 자기 변화
제 1 절 세종 이도의 소명
세종 재위 32년 개괄
맹인 세종, 그가 마지막으로 이루고자 한 소명은?
제 2 절 소년 세종, 세종 이도의 봄
이야기 하나: 불안했던 세종의 유년 시절
훌륭한 리더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마무리
[읽을거리] 고전 독서력의 힘

제 4 장 [신념] 한글 창제와 설득
제 1 절 한글을 창제한 이유
한글 창제 동기로서 ‘억울한 재판 줄이기’
이야기 하나: 황해도 양민 약노의 사례
제 2 절 한글 창제 과정-반대와 설득 과정
최만리는 과연 설득당했을까?
《훈민정음 해례본》으로 당시 지식인들을 설득시키다!
훈민정음이 세계 최고라는 논리: 3라운드
마무리
[읽을거리] 대한민국의 근현대 기업가들은 창업해서 무엇을 하려 했나

제 5 장 [강점] 세종 인성과 인재 경영
제 1 절 세종의 인성관과 그 자신의 인성
세종의 인성관
세종 자신의 인성
이야기 하나: 굶주린 백성이 충녕대군을 찾아간 이유
마무리
제 2 절 세종의 인재 경영
세종의 인재관
세종의 인재 선발 기준
마무리
[세종리더십 실천]
[읽을거리] 삼성 이병철의 용인(用人) 철학

제 6 장 [창의] 집현전과 경연 회의
제 1 절 세종의 비밀 병기, 집현전
세종의 싱크 탱크 집현전의 비밀
집현전은 어떻게 최고의 싱크 탱크가 될 수 있었나?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양성, 자료의 축척과 신속 정확한 열람 체계
마무리
제 2 절 두 번째 비밀 병기, 경연 회의
인재들의 말문을 여는 법
말과 일을 엮는 토론으로 분위기를 쇄신하라
경연에서 ‘말’과 ‘일’을 엮다
경연에서 ‘말’과 ‘일’을 엮어 창의적 해법을 도출하다
세종이 경연을 통해 얻은 것
마무리
[세종리더십 실천]
[읽을거리] ‘토스’를 탄생시킨 비바리퍼블리카의 소통

제 7 장 [비전] 세제 개혁과 공론 형성
제 1 절 세종의 비전, 생생지락 하는 나라
생생지락, 세종이 꿈꾼 살맛 나는 부강한 나라
즐거운 마음으로 생업에 임하는 나라
튼튼한 방과 안정된 직업
마무리
제 2 절 비전 공감 사례: 세제 개혁
세종의 고민?혁명보다 어려운 세제 개혁
조선왕조 정책 결정의 핵심 요소, 공론
신료들과 토론하기, 의견 경청하기, 진실된 태도 견지하기
마무리
[세종리더십 실천]
[읽을거리] 포항제철 ‘우향우 정신’

제 8 장 [위기] 강원도 기근과 한양 화재 사건 대응
제 1 절 위기의 개념과 강원도 기근 사례
위기의 개념과 접근 방법
재위 초반 최대의 위기-1423년 강원도 대기근
대기근 해결 방안 ①: 정확한 현지 실태 파악
대기근 해결 방안 ②: 기민의 자유로운 이동 허용
대기근 해결 방안 ③: 구휼 방식의 혁신적 변화
마무리
제 2 절 위기 극복 사례: 1426년 한양 화재 사건
화재 발생과 피해 상황
화재의 원인
세종 정부의 대응
마무리
[세종리더십 실천]
[읽을거리] 애경 영등포 공장 화재 사건

제 9 장 [정도] 공정한 판단과 인의仁義로운 판결
제 1 절 생생지락의 조건, 떳떳한 직장
‘형벌’에 대한 세종의 생각
마무리
제 2 절 재판 판결 사례: 평양 대성산 떼강도 탈출 사건
이야기 하나: 평양 대성산 떼강도 탈출 사건
마무리
[세종리더십 실천]
[읽을거리] 포항제철 산소 공장 폭파 사건

제10장 [협상] 외교와 내치
제 1 절 조선왕조 장기 지속 요인, 실용 외교
중국 대륙의 세력 변동에 따른 실용 외교 추구
소 1만 마리 외교를 통해 본 세종의 외교
마무리
제 2 절 세종시대 이예의 일본 외교 사례
이예 외교 리더십의 사례: 1422년 ‘대장경 위기’
이예의 외교, 어떻게 성공했나
마무리
[세종리더십 실천]
[읽을거리] 현대조선 차관 도입 협상

제11장 [도전] 북방 개척
제 1 절 힘들지만 중요한 국가사업, 사민(徙民) 정책
역사 속 사민 입거 정책
단계적 이주 정책과 이주민 특혜 정책 시행
사민을 회피하는 자들에 대한 처벌
세종의 영토 경영 리더십: 장애물과 극복 방식
제 2 절 백두산 프로젝트
백두산을 우리 영토로 만들라
김종서, 억울하다며 사직서를 제출하다
마무리
[읽을거리] 세종의 영토 개척, 김대중 대통령의 정보 통신 산업 개척

제12장 [계승] 지속 성장을 위한 조건
제 1 절 최고 지도자의 마지막 임무, 후계자 선정
후계자 선정 논란, 택장擇長 vs. 택현擇賢
충녕대군을 선택한 이유: 최고 지도자의 조건
마무리
제 2 절 전격적 전위, 66일간의 기록
뛰어난 승계자 세종
최고의 정치 멘토 태종
리더십 승계 사례
마무리
[세종리더십 실천]
[읽을거리] LG의 택장론과 택현론

종장 한민족의 세종을 넘어서
외국인들이 궁금해하는 세종 이야기
세종과 세잔, 그리고 나의 ‘생 빅트와르 산’
마무리
이 책 저술을 위해 사용된 글들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