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한국인의 일본어문학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제1장 일제강점기 한반도의 일본어문학
1. 한국인의 ‘일본어문학’ 19
2. 한반도의 일본어문학장 26
3. 조선인의 목소리를 담아낸 일본어 잡지 33

제2장 일본문단으로 나아간 조선인의 문학
1. 프롤레타리아 문학과 한일 문학의 연대 41
2. 간토대지진 조선인학살에 대한 기억 53
3. 근대 일본의 ‘조선 붐’을 일으킨 장혁주 65
4. 춘향전, 일본인을 매료시키다 74
5. 근대 일본이 발견한 김사량의 문학 86

Ⅱ. 냉전시대의 재일문학
제3장 일본에서 해방을 맞이한 재일조선인
1. 1950년대 재일조선인 문화운동 105
2. 재일문학을 시작한 김달수 115
3. 북한으로 ‘귀국’하는 재일조선인 이야기 118

제4장 식민과 분단을 사는 재일문학
1. 재일문학의 원점과 김석범 139
2. 일본에서 분단을 넘는 김시종의 문학 154
3. 제주도와 일본 사이에서 ­ 김석범과 김시종 168
4. 일본에 뿌리내린 한국인의 삶의 터전 ‘이카이노’ 174

제5장 재일문학의 연속성
1. 사할린에서 귀환한 재일문학 189
2. 이회성의 문학과 재일문학의 연속성 200
3. 양석일과 재일서사의 단절과 연속 207

Ⅲ. 변화하는 재일문학
제6장 조국을 찾아온 재일코리안 문학
1. 한국에 유학 온 이양지의 문학 221
2. 유미리의 문학과 ‘조국’ 235
3. 재일하는 존재의 근원을 찾아서 251

제7장 재일문학의 경계를 사는 이야기
1. 국적을 무화시키는 가네시로 가즈키의 문학 269
2. 민단과 조총련을 넘나드는 후카자와 우시오의 문학 278
3. 최실과 양영희의 조선학교 이야기 290

제8장 현대 일본사회와 재일문학
1. 한국문학을 일본에 소개한 재일코리안 305
2. 일본의 대지진과 재일문학 313
3. 일본문학상과 재일코리안 326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