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총론
Ⅰ 지명 연구의 성과와 과제
제1장 歷史文獻資料를 대상으로 한 지명 연구의 성과와 과제
제2장 調査資料를 대상으로 한 지명 연구의 성과와 과제
Ⅱ 한국의 지리지와 지명
제3장 조선 전기까지의 지리지와 지명-
제4장 조선 후기의 지리지와 지명
제5장 일제강점기 이후의 지명 관련 자료집 편찬과 지명
제2부 한국지명의 단면
Ⅰ 동리명의 형성과 변천
제6장 堤川 농촌지역 동리명의 형성과 변천
제7장 堤川 시내지역 동리명의 형성과 변천
제8장 淸風府 北面·東面·遠南面·近南面·遠西面 동리명의 형성과 변천
제9장 淸風府 邑內面·近西面·水下面 동리명의 형성과 변천
제10장 淸州의 행정구역 명칭 형성과 변천
Ⅱ 지명어의 漢字語化와 대립?공존
제11장 고유어지명과 한자어지명의 대립
제12장 의역과 음역에 의한 지명의 한자어화
제13장 지명어의 한역화 유형
제14장 고유어지명의 한자어화 과정과 한자어지명의 정착
제15장 고유어지명 ‘개앗?살미’와 한자어지명 ‘浦前?活山’
제16장 고유어지명 ‘벼루박달?한돌’과 한자어지명 ‘硯朴?黃石’
제17장 고유어지명 ‘쇠ㅸㅕㄹㆍ’와 한자어지명 淵遷·金遷
제18장 고유어 ‘소’와 對應되는 漢字 ‘潭?湫?淵’
제19장 용소·가마소의 ‘소’와 漢字 ‘沼’
제20장 지명어의 후부요소 ‘遷’
제21장 『新增東國輿地勝覽』에 나오는 ‘遷’계 지명어의 쇠퇴
제22장 ‘谷’계와 ‘村’계 지명의 어휘적 단면
제23장 한국지명 표기에 쓰인 ‘串’에 대한 문자론적 접근
제24장 『朝鮮王朝實錄』에서 지명 표기에 주로 쓰인 한국고유한자 ‘串’
제25장 지명 속에 남아 있는 옛말
제26장 [고개] 관련 후부요소의 발달과 지역적 분포
제3부 한국지명의 전망
제27장 지명어의 특징과 가치
제28장 새주소 체계 도입을 위한 도로명 부여 사업과 국어 문제
제29장 도로명 전부요소 명칭 부여
제30장 도로명 후부요소 명칭 부여
제31장 도로명 명명의 현황과 과제
제32장 청주시 골목길 후부요소
제33장 청주시 골목길 전부요소
제34장 행정중심복합도시 명칭 제정의 경과와 전망
제35장 고속철도 역명 제정의 경과와 전망
제36장 지명표석 설치와 고유어 지명의 보존
참고문헌
[예스24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