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차례 |

제1부 총론
1. 국어의 문법 현상에 충실한 형태론 기술
- 형태소 분석의 문제
2. ‘이다’와 ‘아니다’의 품사 분류의 문제
3. 국어의 문법 현상에 충실한 통사론 기술
- 격조사 교체와 격 기능

제2부 형태론
1. 형태소와 이형태
2. 단어와 품사 분류
제1장 품사론
1. 체언
1) 명사
2) 대명사
3) 수사
2. 관계언
1) 격조사
2) 보조사
3) 접속 조사
3. 용언
1) 동사
2) 형용사
3) 용언의 활용
4) 본 용언과 보조 용언
5) 어미
4. 수식언
1) 관형사
2) 부사
5. 독립언
6. 품사 통용
제2장 단어 형성론
1. 파생법
1) 파생 접사의 생산성
2) 파생 접사의 기능
3) 파생어 형성 규칙의 제약
4) 접두 파생법
5) 접미 파생법
2. 합성법
1) 합성어와 구의 구별
2) 합성어의 유형
3. 한자어의 단어형성법
1) 한자어 파생어
2) 한자어 합성어

제3부 통사론
문장, 어절, 구, 절
제3장 문장 성분
1. 주어
1) 주격 조사
2) 이중 주어 문제
2. 서술어
3. 목적어
1) 목적격 조사
2) 이중 목적어 문제
3) 피동문에 나타나는 ‘을/를’
4. 보어
5. 관형어
6. 부사어
7. 독립어
제4장 문장의 짜임새
1. 국어의 기본 문형
2. 안은 문장
1) 명사절을 안은 문장
2) 관형절을 안은 문장
3) 부사절을 안은 문장
4) 인용절을 안은 문장
5) 서술절을 안은 문장
3. 이어진 문장
1) 대등적으로 이어진 문장
2) 종속적으로 이어진 문장
3) 이어진 문장의 통사 현상
제5장 문법 요소
1. 문장 종결법
1) 평서문
2) 의문문
3) 명령문
4) 청유문
5) 감탄문
2. 높임법
1) 상대 높임법
2) 주체 높임법
3) 객체 높임법
3. 시제법
1) 과거 시제
2) 현재 시제
3) 미래 시제
4) ‘-었-’과 ‘-어 있-’의 관련성
5) ‘-었었-’의 형태와 의미
6) ‘-더-’의 기능
4. 피동법
1) 파생적 피동문
2) ‘-아/어지다’의 기능
3) ‘되다, 받다, 당하다’와 피동의 관계
5. 사동법
1) 파생적 사동문
2) 통사적 사동문
3) 두 가지 사동문의 차이
6. 부정법
1) 부정문의 정의
2) ‘안’ 부정문, ‘못’ 부정문, ‘말다’ 부정문
3) 짧은 부정문과 긴 부정문
4) 부정의 범위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