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경상방언의 현장 조사 연구
성조와 움라우트◦19
―성주․금릉 지역어를 중심으로
1. 성조와 움라우트의 상관성 문제 19
2. 방언 자료 분석을 통한 검증 22
3. 요약 35
국어 성조의 문법적 식별 기능◦37
1. 연구의 필요성 37
2. 중세국어와 경상방언에 나타난 성조의 기능 38
3. 연구의 의의 및 요약 58
상주 화북지역어의 음운론적 특징◦61
1. 연구 대상 지역과 제보자 61
2. 음운 체계와 음운 현상 분석 63
3. 요약 85
낙동강 하구 을숙도 주변 지역의 식물 어휘 연구◦87
1. 현지 조사와 제보자 87
2. 식물 어휘 분석 90
3. 식물 어휘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제언 116
지방지의 언어문화편 작성을 위한 새로운 모델 연구◦119
1. 서론 119
2. 기존 지방지 방언편의 실태 분석 123
3. 새로운 언어문화편 작성을 위한 기본 방향 134
4. 새로운 언어문화편의 내용과 구성 139
5. 마무리-새로운 모델 개발을 기대함 145
칠곡군의 언어문화◦147
1. 칠곡 방언의 위상 147
2. 칠곡군의 전통 방언 148
3. 칠곡군의 공공언어와 명명언어 175
4. 맺음말 198

제2부 경상방언의 통시적 연구
경상방언의 모음체계와 모음중화◦201
1. 연구의 목적과 방법 201
2. 공시적 모음체계의 차이와 통시적 설명 203
3. 마무리 221
경상방언의 형성과 분화◦223
1. 한국어의 형성과 경상도 지역 223
2. 경상도의 성립과 경상방언의 형성 226
3. 방언차에 대한 인식과 문헌상의 기록 235
4. 성조에 의한 경상방언의 분화 240
5. 마무리 243
영남방언의 통시적 변천◦245
1. 경상도의 형성과 영남방언권의 성립 247
2. 영남방언 관련 문헌에 대한 몇 가지 수정과 보완 249
3. 영남방언의 음운 변화-방언적 특징과 관련된 현상을 중심으로 256
4. 영남방언의 문법 형태 278
5. 영남방언의 어휘 292
6. 맺음말 309

제3부 문헌 자료와 방언 연구
󰡔영남삼강록󰡕(嶺南三綱錄)의 음운론적 고찰◦313
1. 서지 사항 313
2. 표기의 양상 315
3. 단모음의 변화와 모음동화 322
4. 이중모음의 변화 335
5. 결론 354
󰡔국한회어󰡕의 음운 현상과 경상방언◦357
1. 머리말 357
2. 본론 359
3. 마무리 374
영남 문헌어에 반영된 방언적 문법형태에 대하여◦377
1. 방언형태사 연구의 필요성 377
2. 조사 378
3. 용언의 어미 388
4. 앞으로의 과제 408
영남 문헌어에 반영된 방언 어휘 연구◦409
1. 서론 409
2. 영남 문헌어에 반영된 방언형 411
3. 마무리 435
영남 지역 국어사 자료의 연구 성과와 연구 방향◦437
1. 영남 지역 국어사 자료의 현황 437
2. 영남 지역 한글 문헌에 대한 연구 성과 445
3. 연구의 방법과 방향 451
4. 마무리 480
제4부 평안방언과 현대 북한어의 언어 정체성 연구
평안방언의 ㄷ구개음화 미실현과 지역 정체성 형성의 상관성◦483
―ㄷ구개음화 미실현의 원인에 대한 새로운 설명
1. 들어가기 483
2. 평안방언 자료 분석 484
3. ㄷ구개음화 미실현의 원인에 대한 설명 500
4. 결론 516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 규정을 통해서 본 언어 정체성 구축과 차별화 방식 연구◦519
1. 서론 519
2. 선행 연구 523
3.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 실현 529
4. 정체성 구축과 언어적 차별화 548
5. 결론 및 전망 555

참고문헌◦559 / 찾아보기◦587

|YES 24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