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새로운 문자와 언어 시대를 열면서

제1편 문자편

제1장 토기에 새겨진 부호와 암각화의 부호
1. 양산시립박물관과 국립김해박물관에서 만난 부호
2. 문자를 찾아 전국을 헤매다

제2장 고령에서 찾은 천부인
1. 고령 장기리 바위그림
2. 받침 ‘ㅎ’은 해의 소리와 문자, 받침 ‘ㅇ’ 달의 소리와 문자
3. 신석기 토기의 문자는 고대 별자리 부호
4. 천부인을 바탕으로 우리말 만들기

제3장 토기 위에 나타난 가림토
1. 신석기 시대의 용
2. 신석기 시대 빗살무늬 토기
3. 민무늬토기
4. 井, 토기부호
5. 다양한 토기 부호들
6. 특이한 문양
7. 고려와 조선 시대의 별 부호
8. 토기 문자
9. 신석기 토기 문양 모음

제4장 청동거울에 나타난 천문부호
1. 대성동 고분 청동거울
2. 훈민정음과 천문 부호에 관한 단상

제5장 부여 청동기에 새겨진 문양의 의미

제6장 경주 토기 위 문양의 의미
1. 토기 위의 인형

제7장 고대 한국 토기 무늬와 인더스 문자

제2편 언어편

제1장 인류의 첫 언어에 대한 고찰
1. ㅎ의 존재
2. ㅎ의 변음
3. 물고기 -티를 통해서 본 우리말 -히와 한자어 -어(魚) 추리
4. 물고기 외의 동물을 지칭한 단어를 통한 ‘희’의 구체적 예 제시
5. 변음 규칙
6. 대응 관계가 명확한 언어 DNA
7. 중요한 소고(小考)들

제2장 합용병서(合用竝書)를 통한 고대 언어 고찰
1. 합용병서란 무엇인가?
2. 합용병서 쉽게 이해하기
3. 3개 자음의 경우
4. 합용병서의 구체적인 예
5. 2개 병서로 3개의 병서 초성 최대 수 도출
6. 우리말과 한자어의 분리 고찰
7. 우리말과 한자어에서 합용병서의 역할 고찰
8. 결론적인 고대 원 음가
9. 결론을 보충해주는 증거자료 유전자

후기: 말미에 추가하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