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추천의 글 5
프롤로그 15

제1부 농인의 삶
제1장 농인으로 산다는 것
1절 행복한 농인의 삶을 향한 희망 33
2절 농인으로 산다는 것 37
3절 계속 존재할 농사회 65
제2장 농인에 대한 관점과 농정체성 및 농문화
1절 고민해 오던 질문 69
2절 농인에 대한 관점과 농정체성 70
3절 농사회의 특성 77
4절 변화를 향한 제안 87
제3장 청인 중심사회에서의 농의 영향
1절 언어적ㆍ문화적 소수집단으로서의 농인 107
2절 농의 영향 112
3절 제각각 개성을 지닌 농인 172
제4장 농인이 인식하는 위험상황과 의사소통 욕구
1절 위험상황에 취약한 농인 175
2절 위험상황에서 농인의 특성과 증강현실기술 179
3절 연구 방법 187
4절 연구 결과 191
5절 농인을 위한 청각증강기술 개발을 위한 제언 207

제2부 한국수어
제5장 한국수어에 대한 이해
1절 언어의 이해 215
2절 수어의 형식 222
3절 수어의 내용 233
4절 수어의 사용 234
5절 전사의 이해 235
6절 수어는 언어인가? 240
제6장 한국수어사전의 편찬 방향
1절 수어사전 편찬의 필요성 243
2절 한국수어사전 편찬의 발전 방향 248
3절 한국수어사전 편찬 방향을 위한 제언 272

제3부 수어통역과 수어번역
제7장 수어통역과 수어번역의 개념
1절 본격화되고 있는 수어통번역 연구 277
2절 수어통역과 수어번역의 개념 279
3절 수어통역사의 이해 289
제8장 수어통역과 번역 이론
1절 수어통번역은 불가능한가? 293
2절 수어통역과 수어번역의 이론적 모델 306
제9장 수어통역사와 수어번역사의 자질과 직업윤리
1절 불광불급 325
2절 수어통번역사의 자질과 직업윤리 326
3절 첨언 343
제10장 수어통번역의 기술
1절 수어통번역사의 직업적 능력 345
2절 수어통역과 수어번역의 전문 기술 376
3절 수어통역과 수어번역의 현장별 심화 기술 394
4절 통역 노하우와 품질 평가 420

에필로그 427
부록: 미국ㆍ일본의 수어통역사 윤리강령 431
참고문헌 443
찾아보기 4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