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은이의 말

서론우리는 왜 문화재를 돌려받아야 한다고 생각할까
문화재란 무엇인가 |
우리가 문화재 문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 |
왜 영국에 주목하는가 |
고고학의 탄생과 영국박물관 그리고 제국주의 |
문화재 문제를둘러싼 국제법과 미술사 분야의 연구들 |
문화재 문제를 둘러싼 고고학과역사학의 연구들 |
문화재 반환을 둘러싼 이 감정은 어디서 나오는가

제1부문화재 약탈의 역사
근대적 역사의 산물, 문화재 |
문화재 개념이 등장한 역사적 배경
1. 가치 있는 물건이 문화재가 되기까지
문화재 개념이 없었던 중세의 유럽 |
르네상스 시대의 개인 박물관 등장 |
군주의 수집 행위와 권력 관계 |
문화재 수집의 성격 변화: 세계시민주의에서 제국주의로
2. 제국의 등장과 문화재 약탈의 시작
나폴레옹의 이집트 원정 | 동양에서 영국과 프랑스의 유물 수집 경쟁 |
이집트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위대한 과거와 열등한 현재 |
공공의 컬렉션이 된 제국의 수집품 |
제국주의 이데올로기와 문명의 위계화 |
영국, 로마 제국을 모방하다
3. 영국은 어떻게 동양 문화를 약탈했는가
동양을 ‘수집’하고 제국을 ‘전시’하다
1) 영국 문화재 약탈의 시작, 인도의「 티푸의 호랑이」
18세기 프랑스와 영국의 힘겨루기 | 영국이 반출한 최초의 인도 유물, 「티푸의 호랑이」 | 인도에 대한 부정적 타자화 | 수집과 약탈 사이에서, 영제국의 비군사적 지배 방식
2) 아시리아 문명의 발견과 메소포타미아 정복
동인도회사 직원이 바그다드에 거주한 이유 |
오스틴 레이어드는 고대 유적을발굴한 영웅인가 |
아시리아 유물을 둘러싼 쟁탈전 | 영제국에 의한, 영제국을 위한 아시리아 문명 |
문화재 전유를 통한 메소포타미아 정복
3) 세계적으로 악명 높은 문화재 약탈 사건, 중국 돈황
유럽에 알려지지 않은 중앙아시아 | 아우렐 스타인의 중앙아시아 탐사 시작 | 스타인의 돈황 ‘발견’과 헐값에 팔린 유물 |
영제국은 스타인의 업적을 어떻게전유했는가 |
스타인의 돈황 탐사는 왜 악명 높은 약탈일까
4. 국가적 기획: 영국 정부와 해군 그리고 영국박물관
누가 유물을 수집하려고 하는가 |
영국은 어떻게 문화재를 반출했을까 | 1
9세기 유물 수집 열풍의 이유, 예술인가 정치인가 |
유럽의 문화론, 그리스가 가장 위대한 문명이다 |
유럽은 ‘야만적 원주민’으로부터 유물을 ‘구제’했는가

제2부오늘날 세계는 문화재 약탈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1. 문화재 보호를 위한 근대적 노력, 국제법
국제법 탄생의 역사적 배경 | 유럽 중심적 문명론과 문명국만을 위한 국제법|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문화재 보호를 위한 법적 노력과 한계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약탈문화재 반환 규정 첫 등장
2. 영국은 왜 약탈 문화재를 돌려주지 않는가
1) 영국이 반환을 거부하는 법률적 근거
문화재 보호 관련 국제 협약들 |
국제 협약의 한계와 영국의 대응 |
국제법으로도 돌려받지 못한 유물들 |
문화재 반환을 어렵게 만드는 영국박물관법 |
영국박물관법으로 유물을 반환하지 않는 사례들 |
영국 국내법의 해석: 반환은 합법인가, 불법인가
2) 영국이 반환을 거부하는 이론적 근거
문화국제주의와 문화민족주의 | 문화민족주의의 한계
① 국가의 불안정성과 문화적 단절성 |
문화민족주의의 한계
② 문화재의 원소유주는 누구인가 |
문화국제주의의 한계
① 이기적인 역사 인식과 탈역사성 |
문화국제주의의 한계
② 문화우월주의 | 문화재가 담고 있는 역사는 누구의 것인가

제3부21세기 한국은 문화재 약탈을 어떻게 볼 것인가
영국의 문화재 수집은 정치적 약탈이다 |
문화재가 상징하는 ‘민족’은 이제 신화일 뿐인가 |
한국은 ‘실크로드 문화재’를 반환할 것인가 |
21세기, 문화재는 소유하는 것인가 공유하는 것인가

나가며
주(참고문헌)
도판 출처
찾아보기


[YES 24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