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서론 = 13
1. 연구의 필요성 : 여성적 글쓰기란 무엇인가? = 13
1) 여성적 글쓰기에 대한 문제 제기 = 13
2) 서구 여성적 글쓰기 이론 개관 = 18
3) 최근 여성적 글쓰기 연구의 동향 = 27
2. 연구의 배경 : 고전문학에서 여성적 글쓰기의 연구 성과 = 30
3. 연구의 목적 : 여성적 글쓰기로 본 규방가사 연구의 의의 = 38
4. 연구의 내용과 방법 = 41
자아 : 모성과 학문의 길항 작용 = 45
1. 탄식 가운데 놓인 자긍심, 자아, 가문의식 = 49
2. 모성, 긍정적 자아로 가는 길 = 54
1) 작품창작의 계기로서의 모성 = 54
2) 자식 잘 둔 어머니의 자아 = 66
3. 결핍으로서의 학문과 교육 = 74
1) 탄식의 계기로서의 '학문'과 '문장' = 74
2) 계녀가류에서 강조하는 여성 교육의 내용 = 79
3) 교육에 대한 결핍과 열망을 담은 개화기 작품들 = 90
시간 : 기억의 방식과 시간성의 재현 = 99
1. 기억의 재현, 그 여성적 특징 = 99
2. 주관적 시간성의 구획과 고백적 표현 = 109
1) 주관적 시간성의 구획 = 109
2) 고백과 회고의 교차 = 117
3. 에피소드적 기억의 나열과 집단적 자아의 재현 = 120
1) 시간에 대한 남녀 인식의 차이 = 120
2) 개인 체험의 집단적 재현 = 125
공간 : 집과 여행을 통해 본 여성들의 공간의식 = 133
1. 집/바깥, 친정/시가라는 대결적 공간구도 = 134
1) 조선조 여성에게 있어서 집-가정-세계의 관계 = 134
2) 시가와 친정의 대립 = 138
2. 여행, 새로운 공간 경험과 친숙한 공간 재인식 = 143
1) 여성에게 여행이 갖는 의미 = 143
2) 체험의 기술과 그 특성 = 145
3) 여행 체험의 여성성 발견 = 169
4) 여행에 대한 여성적 글쓰기의 발견 = 176
내러티브 : 비교를 통해본 계녀가 내러티브의 특성 = 181
1. 감정적 자기술회적 남성화자, 규범적 지시적 여성화자 = 181
1) 남성화자 계녀가의 양상 = 183
2) 여성화자 계녀가의 양상 = 191
2. 행실 중심의 계녀서, 교양 중심의 계녀가 = 198
1) 계녀서와 계녀가의 관계 = 198
2) 교훈가사의 형성과 여성 대상 교훈서의 전개 = 216
3) 조선시대 여훈서에 나타난 유교적 여성상 = 221
3. 내러티브의 측면에서 본 계녀가의 특징 = 225
1) 규방가사의 맥락 안에서 계녀가의 역할 = 225
2) 여훈서의 맥락에서 본 계녀가의 역할 = 235
수사 : 수사법을 통해 본 고전/현대 가사체의 활용 = 239
1. 규방가사의 수사적 연구에 대한 필요성 = 239
2. 시적 의미 강화를 위한 부사어의 사용 = 255
1) 부사어의 특성 = 255
2) 규방가사에 있어서 부사어의 양상 = 261
3. 정격과 파격을 넘나드는 병렬법의 채용 = 277
1) 병렬의 특성 = 278
2) 우리 고전 시가에서 병렬이 나타나는 일반적인 틀 = 282
3) 규방가사에서 병렬의 형태와 의미 = 302
4. 현대에서 가사체의 유형과 변이, 그 의미 = 309
남은 문제들 = 323
참고문헌 =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