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3
1부 유형론적 접근
反/嘲 花煎歌 계열 가사 -남녀의 性역할에 대한 차별적 인식에 주목하여- = 13
변형계녀가의 장르적 특성과 담화 양상 = 37
남성 작가의 화전가 -여성과의 의사소통 욕구에 주목하여- = 58
남성 화자 규방가사 = 78
18세기 絶命歌辭에 나타난 士大夫家 女性의 殉節意識 -〈絶命詞〉와 〈命道自嘆辭〉를 중심으로- = 105
2부 작품론적 접근
〈반조화전가〉, 〈기수가〉 連作에 나타난 해학과 풍자의 變奏 = 127
〈상심화전가〉의 예외성 = 151
〈된동어미화전가〉에 나타난 여성 의식의 변화 양상 = 167
陜川 華陽洞 규방가사의 토론문학적 성격 -화전가류 규방가사 전반의 토론문학적 특성과 관련하여- = 187
3부 비교, 확장론적 접근
화전가의 의사소통 방식에 나타난 문학치료적 의미 = 209
남성의 규방가사 창작에 담긴 문학치료적 기능 = 231
18~19세기 사대부 가사에 나타난 일상성의 양상 -구강, 홍원장, 위백규의 작품에 나타난 노년, 여성, 가족의 코드를 중심으로- = 251
여성문학의 시각에서 본 19세기 하층 여성의 실상과 의미 -〈변강쇠가〉〈미얄과장〉〈된동어미화전가〉의 비교를 통해- = 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