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 김시업 = 5
총론: 민족문학의 개념과 그 사적 전개 / 임형택 = 19
1. 민족문학의 개념과 민족문학사의 인식 = 20
2. 문학사의 체계: 국문학과 한문학의 이원구조와 통일적 인식의 과제 = 26
3. 신문학의 전개과정에서의 민족문학 = 35
구전서사시의 전승과 민족신화의 형성 / 조현설 = 42
1. 구전서사시의 전승과 신화의 기록 = 42
2. 고대국가의 건국신화들 = 45
3. 건국신화의 재인식과 민족신화의 가능성 = 49
4. 근대 민족신화로 재탄생한 단군신화 = 53
고대가요의 전통과 향가 / 김창원 = 58
1. 고대가요와 삼국속악 그리고 향가 = 58
2. 향가의 명칭과 내포 = 60
3. 향가의 형식과 구조 = 62
4. 향가의 주요 담당층 = 64
5. 향가의 내용과 작품세계 = 66
6. 연구사적 반성 = 71
삼국시대에서 남북국시대까지의 한문학 / 정우봉 = 75
1. 한자의 수용과 활용, 그리고 중세문학의 형성 = 75
2. 삼국시대의 한문학 = 77
3. 남북국시대의 한문학 = 81
동아시아 서사문학의 지평과 나말여초 서사문학 / 정출헌 = 88
1. 나말여초 문학사의 새 지평 = 88
2. 동아시아 서사문학의 교류와『수이전』 = 90
3.『수이전』에 실린 지괴의 서사적 지향 = 93
4.『수이전』에 실린「최치원」의 문학적 성취 = 97
5. 나말여초 서사문학의 층위와 과제 = 101
나말여초의 문학사적 전환과 최치원 / 정환국 = 104
1. 전환기로서의 '나말여초' = 104
2. 나말여초 문인지식층의 성향과 한문학 = 106
3. 최치원 시문학의 세계 = 109
4. 최치원의 문학사적 위치 = 116
고려가요의 다양한 모습 / 김수경 = 121
1. 전시대 시가의 전통과 고려가요 = 121
2. 진솔함ㆍ다양성ㆍ개방성: 속요의 세계 = 122
3. 반복과 변화, 풍류와 낙관: 경기체가의 세계 = 129
4. 고려가요 이해의 새로운 방향 = 135
고려중기 민족현실과 이규보의 모색 / 김승룡 = 138
1. 고려중기와 지식인들, 그리고 이규보 = 138
2.「동명왕편」: 중국과 견주어지는 고려의 문화전통 = 141
3. 농민시: 현실 비판과 체제 안정의 사이에서 = 144
4. 이규보를 다시 읽기 위한 화두, 자유에의 욕망 = 149
여말선초 사대부문학과 현실주의 경향 / 이성호 = 155
1. 여말선초라는 문학의 전환기 = 155
2. 여말 사대부문학의 채시관풍론과 현실주의 = 158
3. 애민의식으로 담아낸 민생실태 = 161
4. 이민족의 침입과 전란의 고통 = 165
5. 신흥사대부 현실주의의 성과와 한계 = 169
『금오신화』의 출현과 김시습의 문학사적 위상 / 신상필 = 173
1.『금오신화』의 저술과 그 배경 = 173
2. 기이로 빚어낸 만남과 이별의 미학,「만복사저포기」와「이생규장전」 = 176
3. 인간사회를 논의한 사상소설「남염부주지」 = 178
4. 이상사회에 대한 회고와 희망,「취유부벽정기」와「용궁부연록」 = 181
5. 김시습의 의식세계와『금오신화』의 문학사적 위상 = 184
조선전기 필기ㆍ패설의 전개양상 / 김준형 = 187
1. 잡록과 필기ㆍ패설 = 187
2. 필기ㆍ패설의 연원과 전개 = 189
3. 필기ㆍ패설의 일탈과 변모 = 195
조선 전기 시가문학의 동향 1 - 악장ㆍ서사시ㆍ경기체가 / 김용찬 = 200
1. 조선전기 시가문학의 개관 = 200
2. 예악의 정비와 악장의 효용 = 203
3. 훈민정음의 창제와 서사시의 등장 = 206
4. 경기체가의 지속과 쇠퇴 = 210
5. 시가 갈래의 단절 혹은 지속 = 212
조선전기 시가문학의 동향 2 - 시조ㆍ가사 / 이상원 = 215
1. 조선전기 국문시가의 기본적 성격 = 215
2. 처사적 삶을 형상화한 작품들 = 217
3. 관인의 책무와 관계된 작품들 = 224
4. 주체의 내적 궁핍을 토로한 작품들 = 226
5. 여류문학의 성취: 기녀시조와 규방가사 = 229
6. 조선전기 국문시가의 변모양상 = 261
16세기말∼17세기 전반기 한문학의 새 경향 / 송혁기 = 237
1. 문화교류 양상의 변모와 문학사적 전변 = 237
2. 당시풍의 확신과 시적 아름다움에 대한 모색 = 239
3. 문학적 전범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산문의 문예미 추구 = 243
4. 쟁점과 전망 = 247
16, 17세기 소설사의 새로운 면모 / 김현양 = 251
1. 주목해야 할 변모양상 = 251
2. 16세기: 변모의 단초 혹은 징후 = 252
3. 17세기 국문소설: '욕망'과 '이념'의 사이 = 257
4. 17세기의 한문소설: 전기소설이 이룩한 성취 = 261
5. 주시해야 할 그밖의 면모 = 265
조선후기 한시의 안과 밖, 현실주의 경향 / 진재교 = 268
1. 조선후기 한시 이해를 위한 몇가지 단상 = 268
2. 문예미의 창신과 표현수법 = 270
3. '민'의 삶과 현실문제의 여러 형상 = 276
4. 다기한 인물의 형상과 서사한시 = 282
조선후기 시가문학의 분화 / 박애경 = 289
1. 조선후기 시가사에 접근하는 방식 = 289
2. 시정담론의 동향과 시조의 통속화 = 291
3. 가사문학의 양적 증가와 다양화 = 297
4. 도시유흥의 성장과 잡가의 부상 = 300
5. 조선후기 시가 연구의 쟁점 = 302
장편소설의 형성과 조선후기 소설의 전개 / 장시광 = 305
1. 17세기와 장편소설의 대두 = 305
2. 유교이념의 표출: 18세기 국문대하소설 = 309
3. 다양한 양식의 표출: 19세기 한문장편소설 = 317
4. 장편소설의 통속화 경향 = 320
조선후기 한문단편의 세계 / 윤세순 = 325
1. 한문단편의 기원과 형성경로 = 325
2. 한문단편의 작가들 = 327
3. 한문단편의 작품세계 = 329
4. 문학사적 위상 = 336
조선후기의 여항문학ㆍ한영규 = 339
1. 여항문학과 여항의 한시 = 339
2. 여항인의 문학론, 천기와 성령 = 344
3. 여항의 전기문학 = 347
조선후기 실학파 문학과 박지원의 문학적 성취 / 김영 = 354
1. 실학파 문인의 사상적 지향 = 354
2. 현실주의적 문예관과 주체적 미의식 = 356
3. 『열하일기』의 문학적 성취 = 361
4. 실학파 문학의 의의와 영향 = 367
조선후기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 / 장경남 = 371
1. 연행사와 통신사 = 371
2. 조선후기 사행문학, 연행록과 통신사행록 = 373
3. 사행문학과 동아시아 문화교류 = 377
4. 문학사적 의의 = 387
조선후기의 시정과 문학 속의 풍속 / 이지양 = 390
1. 시정, 시정인, 시정 풍속 = 390
2. 시정인의 생활과 정감에 가치를 부여한 문예논리 = 393
3. 한문학 속에 그려진 시정인과 시정 풍속 = 397
4. 풍속적 관점으로 문학을 연구하는 이유 = 400
여성문학의 전개와 여성의 목소리 / 김동준 = 405
1. 여성문학의 범위와 대상 = 405
2. 여성문학의 개괄적 흐름 = 409
3. 여성의 표정과 목소리를 찾는 문학사 = 416
판소리의 성립과 판소리계 소설의 확산 / 신동흔 = 425
1. 판소리문학의 자리 = 425
2. 판소리의 성립과 그 문화사적 의미 = 426
3. 판소리계 소설의 충격 = 430
4. 시대현실과 이상 사이 = 433
5. 근대성 논란을 넘어서서 = 437
연행예술의 전통과 가면극 / 김영희 = 440
1. 한국 가면극의 '탈': 존재론적 전환과 역설의 미학 = 440
2. 가면극 형성의 다양한 원류: 외래와 내전의 만남과 창조 = 443
3. 내외ㆍ상하의 소통과 시정 유흥문화로의 성장: 상업화와 세속화 = 446
4. 무대양식적 특질과 판의 역동: 수직적 '산대'와 수평적 '마당' = 449
5. 변방인들의 탈주와 경계 넘기: 패러디와 아이러니 = 454
19세기 문학사의 여러 양상과 근대문학의 접점 / 이형대 = 462
1. 19세기 문학사의 문제의식 = 462
2. 도시적 감수성과 소통영역의 확대 = 464
3. 체제모순의 심화와 민중문예의 부상 = 469
4. 근대문학과의 접점, 그 비연속의 연속 = 473
찾아보기 = 479
글쓴이 소개 = 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