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 9
1장 누구나 시작은 막막하다
내가 방송에 나가도 되는 이유 : 글쓰기는 자신감이 절반 = 13
방전된 배터리로는 시동을 걸 수 없다 : 문제는 욕심이다 = 21
아내 덕분에 여기까지 왔다 : 글은 칭찬을 먹고 자란다 = 30
안도현, 안정효처럼 쓰고 싶다면 : 글쓰기 동기부여 방법 = 36
글 쓸 때 안경을 쓰는 이유 : 습관이 의지를 이긴다 = 42
토하기 일보 직전, '한 병 더'를 외치는 친구 : 그래도 글이 안 써지면 = 49
2장 남과 다른 글은 어디서 오는가
내 친구는 어떻게 고위 공직자가 됐나 : 창의가 만들어지는 길목 = 59
나는 딴짓이 더 재밌다 : 아는 게 없으면 보는 것으로 쓴다 = 69
평소 쓰기 위한 네 가지 도구 : 독서, 토론, 학습, 메모 = 77
호기심 많던 어린아이는 어디 갔을까 : 글쓰기는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것 = 84
눈 옆에 경련이 일었다 : 잃어버린 감정을 찾아서 = 91
웃기는 사람이 되기로 마음먹은 이유 : 재미없는 글은 왜 쓰는가 = 100
당신의 아내 세상에서 몇 번째로 예쁩니까 : 생각이 잘 나는 15가지 = 107
편의점 남자를 보고 왜 눈물이 핑 돌았을까 : 당신의 공감 수준은? = 117
절박함은 방탄유리도 뚫는다 : 그럼에도 당당하게 모방하자 = 124
3장 쓸수록 산으로 가지 않으려면
소설 목차를 보며 가슴이 뛰었다 : 구성요소를 알면 글이 써진다 = 135
내가 운전할 때 아내가 짜증내는 이유 : 나만의 문체가 있는가 = 144
남북정상회담 위기를 이렇게 극복했다 : 어휘력이 문제라고요? = 152
박정희,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의 공과 : 좋은 문장 쓰는 법 = 161
젖은 낙엽처럼 산다 : 표현의 기술 = 170
말은 '거시기'가 통해도 글은 통하지 않는다 : 문법 공부에 하루만 투자해보라 = 179
암 선고 받으면 누구나 이런 생각을 한다 : 내가 몰입하는 여섯 가지 사례 = 189
순백의 뇌에 감사한다 : 글은 기억과 상상의 산물 = 196
왼손잡이가 글을 잘 쓴다? : 뇌과학과 심리학을 공부하며 얻은 글쓰기 팁 = 204
4장 실제로 글은 어떻게 쓰는가
두 사람을 울린 첫 문장과 끝 문장 : 글의 시작과 마무리 = 215
하루키가 자동차 모델명까지 쓰는 까닭 : 묘사는 눈에 그려지게, 귀에 쟁쟁하게 = 222
숙제하기 전이 가장 괴로운 법 : 일단 써라 = 229
《대통령의 글쓰기》를 두 달 만에 쓴 비결 : 말해보고 써라 = 238
영화〈깊고 푸른 밤〉이 좋았던 이유 : 글쓰기는 스토리텔링이다 = 246
글쓰기 고수와 하수의 차이 : 쓰지 말고 고쳐라 = 253
세 가지 이유로 책을 못 쓰겠다는 분들께 : 책을 쓰자 = 261
갈비뼈에 금 가며 얻은 것들 : 온라인 글쓰기 어떻게 해야 하나 = 268
연애편지 뭉치의 행방은? : 이메일, 어떻게 보내야 할까 = 275
5장 사소하지만 결코 놓쳐선 안 되는 글쓰기 환경
글 쓰는 사람은 태생이 '관종'이다 : 독자와 나누는 대화 = 283
그대는 글동무를 가졌는가 : 함께 쓰자 = 290
원숭이도 셰익스피어가 될 수 있다 : 시간ㆍ장소 사용법 = 298
나는 언제 죽어라고 일했나 : 관계가 좋으면 글도 좋아진다 = 307
글쓰기 강의를 그만둬야 할 날이 오고 있다 : 삶에서 배우는 글쓰기 = 314
투명인간으로 살고 싶은 사람은 없다 : 말과 글로 행복하기 = 321
책을 마치며 = 333
더 읽을거리 = 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