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프롤로그 / 박진일
한국의 청동기문화, 1992와 2020

Ⅰ. 청동기의 문화사 / 임혜경
Ⅰ-1. 조기: 신석기시대에서 청동기시대로

[칼럼 1] 청동기시대로의 진입: 수렵채집사회에서 도작농경사회로의 여정
천선행
[논쟁 1] 정선 아우라지유적 출토 청동기, 조기인가? 전기인가?

주장1: 정선 아우라지유적 출토 청동기의 시기에 대한 맥락적 해석
천선행
주장2: 정선 아우라지유적 청동 장신구의 시기를 청동기시대 전기로 보는
이유/이형원


Ⅰ-2. 전기: 농경의 확산과 청동무기의 등장

[칼럼 2] 청동기시대의 곡물 재배/김민구

[칼럼 3] 청동기인들은 가축을 사육했을까?/김헌석

[논쟁 2] 청주 학평리유적 요령식동검의 연대, 어떻게 볼 것인가?

주장1: 청주 학평리유적 요령식동검의 연대를 기원전 12-11세기로 보는
이유/이형원
주장2: 청주 학평리유적 요령식동검의 연대, 쌍방식은 기원전 10-
9세기경!/이후석


Ⅰ-3. 중기: 논농사의 정착과 요령식동검의 유행

[칼럼 4] 청동기시대의 상징, 송국리문화/이종철


Ⅰ-4. 후기: 한국 청동기문화의 절정

[논쟁 3] 한국식동검은 언제 등장했는가?

주​장1: 기원전 400년 무렵 한국식동검 등장과 구분마연 기법/허준양
주장2: 한국식동검문화의 기원전 300년 경 상한설/조진선


Ⅰ-5. 삼한: 청동기에서 철기로

[칼럼 5] ''초기철기시대'' 폐기 모색/박진일



Ⅱ . 청동기의 기술사/ 박진일

Ⅱ-1. 구리, 주석, 납의 제련과 제련로

[칼럼 6] 최신 발굴조사로 본 고대 제동/차순철


Ⅱ-2. 청동기의 주조와 완성

[칼럼 7] 한국식동검의 구분마연과 그 의미/허준양

[칼럼 8] 과학적 분석으로 살펴본 선사시대 청동기의 성분 조성/전효수
노지현



에필로그 / 임혜경

지난 30년, 다가올 30년



논고

한국식동검문화(점토대토기문화)의 기원과 형성 과정/오강원

한국 청동기문화권의 청동무기, 그 기원과 전개/이후석

한반도의 이형동기/이양수

한국 청동기문화의 청동기 제작기술 복원/조진선



부록

한반도 주요 청동기 분포도

국립박물관 소장 청동기의 비파괴 성분 분석 결과/노지현·전효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