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 글 13

서론 19

연구의 목적과 성격 20

도시 기호학의 학문적 위상: 주요 도시 연구 학술 분야에서의 수용과 평가 23
- 주요 기호학 사전들 속의 도시 기호학 항목 23
- 도시학 분야에서의 기호학의 수용 27
- 도시 지식의 횡단성 31

도시 기호학의 지적 계보 I: 도시 텍스트의 판독 가능성과 도시 독법의 근대적 고고학 38
- 보들레르: 도시 텍스트의 수수께끼 41
- 벤야민: 자신도 알지 못했던 최초의 도시 기호학자 45
- 도시 공간의 의도적 오독 또는 전복적 사용: 국제 상황주의자들과 세르토 50

도시 기호학의 지적 계보 II: 린치, 노르베르크슐츠, 로시, 벤투리 54
- 린치의 도시 사상: 인지적 매핑에서 도시의 시간성까지 54
- 노르베르크슐츠: 거주의 시학과 실존 공간 58
- 로시: 도시 건축의 신 합리주의적 유형론 62
- 벤투리: 기호학적 관점 65

도시 공간의 본질: 호모 우르바누스의 탄생과 대도시 문명양식의 창발 70
- 도시의 인간학적 본질 70
- 도시의 단위와 의미의 변화 74
- 대도시 문명양식의 창발 77

근대 도시 계획의 담론과 실행에 대한 비판적 성찰 83
- 근대 도시 계획 담론의 유토피아이즘과 메시아니즘 83
- 근대 도시의 비극적 본질: 정치적 공동체의 종언과 과거 기억의 소거 87
- 르 코르뷔지에의 도시계획 실험과 거주의 인간학적 위기 92

현대 도시의 윤리적 위기와 증강 도시 공간의 도래 97
- 현대 도시 개발의 인간학적 단절: 근접성 맥락의 위기 97
- 얼굴 없는 도시에서 상징적 재의미화의 도시로 102

제1부 근현대 도시 사상 담론의 계보와 지형

제1장 도시 공간의 주요 개념화: 여덟 개의 핵심적 은유와 모델

우주 모델: 도시 공간의 우주성, 종교성, 의례성 118
유기체 모델 133
예술 작품 모델: 도시 인공물의 예술성과 도시 공적 공간의 숭고미 144
기계 모델: 도시 기계의 개념 구조와 계보 153
텍스트 모델: 개념과 문화적 맥락 160
네트워크 모델 169
복잡계 모델 178
생태계 모델 186

제2장 근현대 도시 계획의 담론: 오스만에서 근대건축국제회의까지

근대 도시 계획 담론의 설립 배경 192
1 근대 도시 계획 이론의 역사적 맥락: 정치적 사회적 건설 공학적 요인들 194
2 오스만의 도시 근대화 개조 201

근대 도시 계획 이론의 발생: 근대 계획 담론의 선사 210
1 도시 계획 이론의 발생: 세르다와 소리아 이 마타의 도시계획론 214
2 초기 진보주의적 모델 219
3 영국 도시 사상의 문화주의적 토대: 러스킨과 모리스 224

문화주의적 모델의 전개: 하워드와 지테를 중심으로 233
1 지테의 도시 미학 사상 235
2 하워드의 전원도시 243

자연주의 모델과 인간생물학적 모델: 라이트와 게디스 250
1 인간적 도시 구획: 게디스의 도시계획 사상 250
2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자연주의 모델 256

진보주의적 현대 도시계획의 전개 262
1 진보주의적 모델의 새로운 전환: 토니 가르니에의 ‘산업도시’에서 르 코르뷔지에의 ‘빛나는 도시’까지 264
2 CIAM(근대건축국제회의)의 도시사상사적 의의 270
3 근대 도시 계획 사상의 세 가지 이념적 성격: 도덕주의, 과학주의, 유토피아주의 278

제3장 도시 사회과학 담론의 근대 계보

초기 사회 과학자들의 도시 공간 인식 290
1 마르크스의 도시 개념: 소외와 해방의 이중성 290
2 엥겔스의 도시 관찰과 비판 295
3 베버의 도시 경제학 301

시카고학파의 도시 생태학 306
1 제도적 배경과 이론적 형성 과정 306
2 자연적 질서로서의 도시 311
3 공간적 형상화로서의 도시 319

르페브르의 도시 사상 324
1 근대 도시 비판론 325
2 도시 기호학과 도시 철학에 대한 르페브르의 비판 329
3 도시계획 개념의 공간 이데올로기 비판 336

자본, 공간, 계급: 마르크스 도시 사회과학의 계승 340
1 카스텔스의 도시 비판 이론 340
2 도시 공간의 자본 축적 이론: 하비의 도시 공간 이론 345

프랑스 도시 사회학의 두 전범: 알박스와 숑바르 드 로베 352
1 알박스의 도시 형태론과 집단 기억 352
2 숑바르 드 로베의 파리 공간 구획 이론 362

제4장 도시 인문학 담론의 주요 이정표

벤야민의 도시 공간 독법 369
1 벤야민 도시 사상의 시대적 맥락과 의의 369
2 벤야민의 도시 공간 독법의 성격 380

만보객의 계보학 388
1 만보객의 기원과 변천 388
2 보들레르의 도시 풍경 392
짐멜과 근대성의 도시 풍경 399

세르토의 도시 공간 실천: 도시 공간의 쓰기와 읽기 412
1 『일상의 발명』의 인식론적 토대 412
2 행동 기술과 실천적 장소로서의 도시 공간 417
3 걷기의 수사학과 서사성: 보행자의 발화 작용과 길의 수사학 423

현대 미국의 도시 인문 담론과 비평 430
1 멈퍼드의 도시 인문 사상과 비평 430
2 도시 공간의 윤리성: 제이콥스의 도시 비판론 437

제2부 도시 기호학의 역사적 이론적 토대: 발생·전개·구조

제5장 건축 기호학에서 도시 기호학으로

건축 기호학의 발생과 이론적 토대 449
1 건축의 기능과 커뮤니케이션: 감베리니에서 에코의 건축 이론까지 450
2 영미권의 건축 기호학의 수용과 전개: 브로드벤트, 프레지오시, 젱크스, 벤투리 458
3 프랑스 건축 기호학의 발생과 전개 475

건축 공간과 그레마스 구조 기호학 적용 484
1 건축, 공간, 사회 484
2 건축 공간의 서사적 프로그램 487
3 건축의 구상과 설계 단계에서의 건축 기호학의 기여 499

건축에서 도시 공간으로: 도시 기호학의 선사(先史) 505
1 텍스트로서의 근대 도시 공간 505
2 도시 공간의 판독 가능성: 도시 기호학의 선구자 벤야민과 바르트 510
3 도시 공간의 기호학적 경험 514

제6장 도시 기호학의 이론적 토대

도시 기호학의 발생과 전개 528
1 도시 공간은 하나의 언어인가: 도시 기호학의 발생 530
2 도시 공간의 의미화 또는 탈의미화: 바르트, 쇼에, 그레마스 534
3 도시 이미지의 기호학: 린치의 인지적 접근 542

도시 기호학의 이론적 요소 544
1 옐름슬레우의 모델에 기초한 도시 기호학의 개념적 기초 544
2 도시 공간의 기호학적 요소와 단위의 문제: 르드뤼의 비판적 시각 547
3 도시 공간의 의미화와 이미지 552
4 도시 공간의 생성 문법: 부동의 형태 통사론 모델 560
5 도시 공간에서의 행로와 도시 공간의 텍스트화 565

도시 공간의 사회 기호학적 접근 568
1 일반 기호학과 사회 기호학 568
2 사회 기호학적 접근의 인식론적 조건 572
3 공간 이데올로기에 대한 사회 기호학적 접근법: 미국 쇼핑몰의 공간 분석 사례 576

그레마스의 위상 기호학: 시스템에서 가치론으로 580
1 인식론적 전제와 방법론적 문제 580
2 도시의 이데올로기적 모델 584
3 도시 문법 프로젝트: 발화체로서의 도시와 도시의 발화 작용 587
4 도시 공간 메시지의 발신자와 수신자 590

건축, 도시, 경험: 도시 기호학의 현상학적 토대 593
1 생활 세계로서의 도시 공간 593
2 장소의 구조화와 사회적 의미 작용 598
3 다다름의 기호학: 도시 공간에서 도착, 진입,
머무름의 현상학적 기호학 601

제7장 도시 공간 구조의 형태 기호학적 토대

공간의 개념적 토대 608
1 사회와 공간 608
2 공간 개념의 주요 유형론 612
3 건축 공간의 패러독스: 피라미드와 미로 621

도시 공간 형태의 통시적 변화와 도시 공간 개념화의 계보 625
1 도시 공간의 형태 발생과 역사적 진화 625
2 도시 형태 발생의 일반적 과정과 도시 공간의 복잡성 634

도시 형태론의 이론적 토대 642
1 도시 형태의 본질 644
2 도시 형태의 복잡계 651
3 도시 공간 형태의 사회적/공간적 기하학 657
4 힐리어의 공간 통사론 660
5 도시 형태의 의미 작용 663

도시 형태의 인지적 현상학적 토대: 노르베르크슐츠의 현상학적 도시 건축 이론 667
1 도시 공간의 형상성 667
2 도시 형태의 ‘아우라’와 장소성 672
3 도시 공간의 위상학적 차원: 내부와 외부 674

도시 공간의 형태 발생: 도시적 사실과 도시 공간의 매트릭스 679
1 도시적 사실과 형태발생의 기호학 679
2 도시 공간의 매트릭스 685
3 형태 발생 이론의 개념 구조와 인식론적 조건 689

제3부 도시 기호학에서 도시 인간학으로

제8장 도시 공간의 시학적 상상력

시적 공간으로서의 도시 공간 698
1 공간의 시적 상상력과 도시 공간의 시적 지평 698
2 도시 시학의 윤리적 차원: 이웃과 근접성의 의미 704
3 도시 시학의 몇 가지 요소 710

거주의 시학: 하이데거로부터 배우기 722
1 하이데거의 거주 철학 다시 읽기 722
2 하이데거의 공간 개념의 영향: 공간의 실존성과 장소의 정신성 728
3 건축의 예술성과 거주의 시학: 노르베르크슐츠의 하이데거 해석 733
4 거주 시학의 생태학적 함의 742

도시 공간의 시적 전유 749
1 도시 경험으로서의 도시 유랑 749
2 도시 공간의 시적 경험: 도시 유랑의 작은 역사 758
3 인도와 걷기에 대한 문학적 기호학적 성찰: 길과 거리의 시학 761
4 길과 거리의 초월성 766

제9장 도시 공간의 서사성: 기억, 서사, 시간

도시 공간의 기억 769
1 흔적과 집단적 기억으로서의 도시 공간 769
2 건축과 기억: 기억 개념의 근대적 계보와 정치학 776
3 도시 공간의 표상성과 상상계 786

도시 공간의 서사적 차원 793
1 도시 건축의 정체성과 서사성 793
2 도시 공간 서사성의 몇 가지 요소 798
3 도시의 서사성: 도시 공간의 서사적 밀도와 패러독스 807
4 건축, 기억, 서사: 도시공간을 낯설게 하면서 읽기 812
5 공간, 감각, 느린 시간: 도시 서사의 잠재적 요소들 818

도시의 시간성 825
1 도시 공간의 시간성 825
2 도시 공간 기호들의 기억과 망각 835
3 시간과 환경 844
4 공간 구조의 시간성 851
5 도시 공간에서 시간의 콜라주와 리듬 854

제10장 도시 공간의 생태학적 토대

도시 생태학의 역사적 조건과 발생 맥락 835
1 생태학 개념의 의미장과 생태 사상의 계보 835
2 환경 위기와 지속 가능성 패러다임의 창발 844
3 근대 도시 생태학의 문화적 정치적 발생 맥락 851
4 근대 도시계획 담론과 자연: 환경 위기와 생태학적 의식의 도래 854

도시, 자연, 생태계 897
1 도시 생태학의 개념 구조: 지속 가능한 생태 도시 897
2 생태계로서의 도시 공간 903
3 도시와 자연 905
4 도시 생태학의 윤리적 우주론적 토대: ‘에쿠멘’의 생태학적 차원 912

도시 공간의 주요 생태학적 차원들 918
1 지속 가능한 도시 생태계의 모델 918
2 도시의 신진 대사: 에너지 절약과 탄소 제로 924
3 생태적 발자취 933
4 생물 다양성 936

찾아보기 944
참고 문헌 956
도판 출처 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