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정본과 이본의 계보 / 11
제1장 근현대소설 판본과 해적판 연구를 위한 시론(試論) 13
1. 문제제기 13
2. 근현대소설의 판본 및 해적판 연구의 필요성 16
3. 김기진, 이광수, 이기영의 경우 22
4. 계통 수립의 사례-『태평천하』 26
5. 근현대소설의 판본 분화와 해적판 연구의 의의 29
제2장 김동인 장편소설의 판본과 계보 -표제 수정을 중심으로 33
1. 문제제기 33
2. 판본 분화 양상 검토 37
3. 판본 분화의 의미 49
제3장 『전도양양』의 개작 연구 53
1. 선행 연구 검토 및 문제제기 53
2. 개작의 배경 57
3. 개작의 양상-‘새로운 통속소설’의 굴절 62
4. 개작의 의미 71
제4장 강명화 이야기의 소설적 변용 -현진건의 『赤道』론 75
1. 문제제기 75
2. 『女의鬼 康明花傳』과 『새빩안 웃음』의 거리 79
3. 강명화 이야기의 창조적 변용-현진건의 『赤道』 87
4. 결론 96

제5장 김기진과 중외일보 99
1. 들어가며 99
2. 이상협과 번안소설, 중외일보 101
3. 김기진과 중외일보 105
4. 단정(丹鼎) 김기진의 번안소설 『最後의 勝利』 109
5. 나오며 115
제6장 『꽃과 뱀』의 대중소설적 위상 117
1. ‘양적 우세와 질적 퇴보’에 관한 문제제기 117
2. 원환(圓環)의 서사구조 123
3. ‘꽃’과 ‘뱀’의 신화적 상징성 131
4. 『꽃과 뱀』의 의의 138
제7장 박루월 소설 연구 141
1. 선행 연구 검토와 문제제기 141
2. 박루월과 ≪영화시대≫ 146
3. 박루월 소설의 유형과 특징 152
4. 박루월 소설의 문학사적 의미 165


Ⅱ 해적판 소설의 사회.문화사 / 169
제1장 이기영 소설의 개제(改題) 양상과 의미 171
1. 해적판인가 개제작인가 171
2. 일제 말기와 해방기 개제 경향과 출판 동향 176
3. 탈이데올로기화 경향: 『신개지』와 『순정』 181
4. 친일·통속과 좌익의 경계: 『생활의 윤리』와 『정열기』 185
5. 이기영 소설의 개제 양상과 그 의미 191
제2장 『태평천하』의 개제 양상 및 해적판 연구 195
1. 문제제기 195
2. 해방 직후 저작권 상황 및 출판 관행 197
3. 『태평천하』의 개제 양상 201
4. 『태평천하』의 해적판 출간 양상 208
5. 『태평천하』의 개제 양상 및 해적판 출간의 의미 218
제3장 ?최후의 승리? 판본 연구 223
1. 문제제기 223
2. 『최후의 승리』와 『최후의 심판』의 판본 비교 227
3. 『최후의 승리』 판본 분화와 김기진 241
4. 판본 연구의 성과와 한계 246
제4장 해적판의 계보와 『태평천하』의 계통 249
1. 기존 논의 검토와 문제제기 249
2. 해적판의 계보 253
3. 『태평천하』의 계통 262
4. 해적판 소설의 위상과 의의 266
제5장 김기진 번역 번안소설 연구 271
1. 문제제기 271
2. ‘새로운 통속’의 두 축 275
3. 김기진 번역 번안소설의 의의 292
제6장 『행복에의 흰손들』의 판본 분화 양상과 의미 297
1. 기존 논의 검토와 문제제기 297
2. 『행복에의 흰손들』 판본에 관한 몇 가지 논점 302
3. 1949년의 두 판본-광문서림본과 평범사본 308
4. 전집 및 영인본 텍스트 313
3. 저작권의 이동과 저자의 지위 316
4. 판본 분화의 의미 320
제7장 해방기 해적판 소설의 유형과 위상 323
1. 해적판 소설 출현 배경 323
2. 해방기 출판 환경 변화와 저작권 갈등 326
3. 해적판 소설의 유형 333
4. 해적판 소설의 위상 342
부록: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