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__v

제1장 언어학사 연구의 의의와 접근법 - 최적의 개관성을 지향하며

1.1 필요성1
1) 언어학사 연구의 난삽성2
2) 언어학 정사의 출현4
3) 이론 언어학의 기초11
1.2 전 역사적 접근법 대 특정시대적 접근법20
1) 학문적 심도성21
2) 저술 대 편집24
3) 서양 중심성27
1.3 거시적 접근법31
1) 두 축의 역사적 사실성32
2) 기여성37
3) 주도성39
1.4 이론지향적 접근법 대 자료지향적 접근법45
1) 역사주의의 재음미46
2) 자료 우선적 경향48
3) 이론지향적 접근법으로의 전환 가능성58

제2장 고대 유럽에서의 언어연구 - 전통문법의 성립

2.1 두 가지 의의68
1) 언어학의 잉태기68
2) 전통문법의 발달75
2.2 고대 희랍에서의 언어연구84
1) 언어연구의 두 가지 동기84
2) Thrax의 문법학90
3) 희랍어 음운론의 탄생94
2.3 고대 로마에서의 언어연구99
1) 건국 초기의 라틴어 연구99
2) Donatus와 Priscian의 문법서106
3) 라틴어 문법의 역할112
2.4 라틴어의 음운 및 문법 조직121
1) 고대 때의 로마 알파벳122
2) 고전 라틴어의 음운조직125
3) 고전 라틴어의 어형조직127
4) 고전 라틴어의 통사구조132

제3장 중세기와 르네상스기의 언어연구 - 양태문법의 출현

3.1 중세기의 두 흐름135
3.2 양태문법의 출현144
1) 양태문법의 선구자144
2) 양태문법의 개요148
3.3 르네상스기의 언어연구158
1) 고전어에 관한 연구160
2) 지방어에 관한 연구167
3.4 포르 루아얄 문법의 출현 배경과 개요192
1) 출현의 배경193
2) 개요198
3) 평가203

제4장 19세기에서의 언어연구
- 역사언어학으로의 대전향

4.1 대전향의 의의206
4.2 산스크리트어의 발견222
1) 발견의 역사222
2) 산스크리트어의 실체226
4.3 젊은 문법학자들의 활약239
1) 세 명의 창시자239
2) 젊은 문법학자들의 등장248
4.4 역사언어학의 궤적260
1) 종속성260
2) 업적270

제5장 20세기에 들어서서의 언어연구 - 혁명적 구조언어학의 등장

5.1 언어학적 전향의 효시282
5.2 Saussure의 언어 이론298
1) 음운 이론301
2) 문법 이론310
5.3 Hjelmslev의 言理學315
1) 언어이론상의 세 가지 특징317
2) 분석 절차326
3) 분석의 실례329
5.4 런던(London)학파333
1) 음운론337
2) 의미론341

제6장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의 언어연구Ⅰ : 통사론 - 변형생성문법의 석권

6.1 변형생성문법의 출현의 의의349
1) 반구조주의적 문법350
2) 이성주의적 언어사상354
3) 언어학의 위상 격상361
6.2 변형된 변형 문법이론368
1) 초기이론369
2) 표준이론373
3) 원리와 매개변인의 이론379
4) 최소주의 이론385
6.3 변형생성문법 이론의 양면성392
1) 일관성392
2) 의미의 문제398
3) 인간학으로의 비약402
6.4. 대안적 문법들409
1) 일반화 구구조문법411
2) 수어 추동 구구조문법414
3) 어휘기능문법418
4) 관계문법422
5) 범주문법425

제7장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의 언어연구 Ⅱ: 기타 영역들 - 연구영역의 전방위적인 확장

7.1. 화용론의 발달430
1) 화행이론433
2) 협력성의 원리437
3) 정중성의 이론438
4) 관련성 이론443
7.2. 의미론446
1) 어휘 의미론446
2) 형식의미론453
3) 담화의미론457
7.3 담화분석론462
1) 담화분석463
2) 회화분석465
3) 비평적 담화분석469
7.4 응용언어학473
1) 언어교육론476
2) 제2어 습득론480
3) 번역연구482
7.5 자료언어학487
1) 관용구 연구491
2) 변이성 연구494
3) 언어교육과의 관계497

참고문헌__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