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필요성1 1) 언어학사 연구의 난삽성2 2) 언어학 정사의 출현4 3) 이론 언어학의 기초11 1.2 전 역사적 접근법 대 특정시대적 접근법20 1) 학문적 심도성21 2) 저술 대 편집24 3) 서양 중심성27 1.3 거시적 접근법31 1) 두 축의 역사적 사실성32 2) 기여성37 3) 주도성39 1.4 이론지향적 접근법 대 자료지향적 접근법45 1) 역사주의의 재음미46 2) 자료 우선적 경향48 3) 이론지향적 접근법으로의 전환 가능성58
제2장 고대 유럽에서의 언어연구 - 전통문법의 성립
2.1 두 가지 의의68 1) 언어학의 잉태기68 2) 전통문법의 발달75 2.2 고대 희랍에서의 언어연구84 1) 언어연구의 두 가지 동기84 2) Thrax의 문법학90 3) 희랍어 음운론의 탄생94 2.3 고대 로마에서의 언어연구99 1) 건국 초기의 라틴어 연구99 2) Donatus와 Priscian의 문법서106 3) 라틴어 문법의 역할112 2.4 라틴어의 음운 및 문법 조직121 1) 고대 때의 로마 알파벳122 2) 고전 라틴어의 음운조직125 3) 고전 라틴어의 어형조직127 4) 고전 라틴어의 통사구조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