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老乞大」와 「朴通事」 언해서의 간본

Ⅰ. 서론
1. 연구의 내용과 목적
2. 연구 대상 문헌
2.1. 「飜譯老乞大」
2.2. 「飜譯朴通事」
2.3. 「老乞大諺解」
2.4. 「朴通事諺解」
2.5. 「老乞大諺解」(平安監營重刊本)
2.6. 「老乞大新釋諺解」
2.7. 「朴通事新釋諺解」
2.8. 「重刊老乞大諺解」
3. 이전의 연구 성과
4. 通攷所制之字와 國俗撰字之法

Ⅱ. 전사 표기
1. 聲母 표기
1.1. 聲母의 전사 도식
1.2. 全濁音 표기
1.3. 齒音 표기
2. 韻母 표기
2.1. 韻母의 전사 도식
2.2. 좌우음에서 차이가 나는 韻母 표기
2.3. 入聲韻尾 표기 ㆆ, ㅸ
3. 聲調 표기
3.1. 「飜譯老朴」에 나타난 聲調 표기
3.1.1. 聲調 표기와 관련된 몇 가지 문제
3.1.2. 調値의 추정
3.2. 朱點本 「重刊老乞大諺解」에 나타난 聲調 표기
3.3. 「老乞大」와 「朴通事」 언해서에 나타난 聲調 표기의 성격

Ⅲ. 左右音의 성격
1. 「飜譯老朴」에 나타난 正音과 俗音의 개념
1.1. 「飜譯老朴」의 正俗音 개념에 대한 견해에 나타난 문제점
1.2. 「飜譯老朴」의 正俗音에 대한 관련 자료의 기록
1.3. 「飜譯老朴」 正俗音의 개념에 대한 검토
1.4. 소실된 문헌의 중국어음 표기
2. 좌측음의 성격
2.1. 「飜譯老朴」 좌측음의 성격
2.1.1. 정밀표기
2.1.2. 15세기 현실음
2.1.3. 중국북방음
2.1.4. 규범음
2.2. 「飜譯老朴」 좌측음과 「譯訓」 俗音의 차이
2.3. 이후의 간본에 나타난 좌측음의 표기 양상
2.4. 좌측음의 언어학적 가치
3. 우측음의 성격
3.1. 표기방식과 音系에 나타난 우측음의 성격
3.1.1. 國俗撰字之法
3.1.2. 북방중국어 현실음
3.2. 「飜譯老朴」 우측음과 「通解」 今俗音의 차이
3.2.1. 全濁音과 入聲韻尾 표기
3.2.2. 聲母 관련 표기
3.2.3. 韻母 관련 표기

Ⅳ. 음운변화
1. 聲母의 변화
1.1. 微母의 소실
1.2. 권설음화
1.3. 日母字의 변화
1.4. 구개음화
1.4.1. 尖團不分 현상의 발생 시기
1.4.2. 관련 자료에 나타난 尖團不分 현상
1.4.3. 「老乞大」와 「朴通事」 언해서에 나타난 구개음화 현상
2. 韻母의 변화
2.1. iu > y
2.2. 山攝系 韻母의 변화
2.3. uɔ(uo) > ɤ
2.4. 鼻音韻尾의 변화
3. 聲調의 변화

Ⅴ. 방언 배경
1. 「飜譯老朴」에 나타난 중국어음의 방언 배경
1.1. 南京官話의 영향
1.2. 文白異讀과의 관계
2. 18세기 간본에 나타난 중국어음의 방언 배경

Ⅵ. 결론

참고문헌 및 참고자료
찾아보기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