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주거건축에 대하여
그 사람이 살던 집 10
시대와 생활에 맞춰 변화해 온 한옥 16
서양인이 살던 빨간 벽돌집 23
사업가 일본인들이 지은 전통 일본가옥 27
자연스러운 문화 수용, 절충식 주택 35
관리들이 살던 집 관사 43

제 2부 공공건축에 대하여
국가권력의 시각화 50
여성교육, 근대화의 힘 57
문화통치 제국교육의 흔적 62
도시위생의 근본, 물 66
금융기관 등장 71
대식가 나라에서 소식가 나라로 76
가까운 이방인, 화교 80

제3부
전장의 신, 구원의 갈구 86
한옥건물에서 신앙 생활 90
부처님이 계시는 사찰 97
신마저도 지배하는 ''제국''통치 102
기억에 공간, 재실과 사당 108

제 4부 전쟁에 대하여
전쟁이 남긴 흔적, 반전과 평화를 상징 114
일본 패전 흔적이 새겨진 아픔을 간직한 제주 119

제5부 교통에 대하여
침략과 개발의 기반이 된 철도 이야기 126
추억과 함게 남은 작은 간이역들 129
기념비처럼 홀로 남은 증기기관차 급수탑 136
철로의 완성, 철도교량 142
도시민에게 발이 되었던 전차 148
증기기관차에서 디젤전기기관차로 154
철도 운행을 위한 건축물들 160
아름답고 고마운 등대 166
산을 뚫어 길이 된 터널 170
1%의 자동차가 모두를 위한 교통으로 174

제6부 공간에 대하여
역사문화 거리와 공간 182
전통적 요충지였던 목포에 온 일본인 183
쌀 수탈의 상징, 군산 내항 192
철도와 함게 시작된 근대도시 영주 197

제7부 기록에 대하여
기록으로 남은 항일 204
눈을 뜨고 견문을 넓혀라 211
우리말 사전이 나오기까지 216
가장 어두운 시대에 쓴 가장 아름다운 시들 222
우리 땅과 우리 바다에 대한 기록 227
근대로 나아가는 첫 발걸음 231

제8부 예술 및 체육에 대하여
조선인 화가들이 그린 조선과 조선인 238
만화로 읽는 사회 부조리 242
욕망을 표출하는 근대 여성들 245
광복을 외치는 애국가 249
공예품이 미술품이 되기까지 255
슬픈 얼굴을 한 선수를 응원하는 기쁨 260
대한민국 첫 올림픽 265

제9부 산업에 대하여
인간을 널리 자유롭게 한 가전들 272
발 없는 말이 천리를 달리다 277

제10부 그 밖의 이야기
시대 변화에 발맞춰 변화한 군복 284
주인공이 되는 날 288
나라를 담은 태극기, 애국충절 상징으로 292
무스탕에서 제공호 전투기로 298
사람을 구한 서양의술, 나라를 구하기 위ㅐ 나선 의학도들 303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