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 리 말 3

1. 개괄 9

2. 전체 화자의 발음 경향 15
2.1. 경음화 15
2.1.1. 고유어 복합어의 경우 16
2.1.2 한자어의 경우 27
2.2 ㄴ-첨가 33
2.2.1 고유어 합성어의 경우 35
2.2.2 고유어 파생어의 경우 39
2.2.3 한자어 합성어의 경우 41
2.2.4 한자어 파생어의 경우 43
2.3 장단음의 발음 45
2.3.1 기저 장음의 경우 45
2.3.2 기저 단음의 경우 48
2.4 ㄴ-ㄹ 연쇄의 발음 49
2.4.1 외래어의 경우 50
2.4.2 한자어의 경우 52
2.5 받침의 발음 54
2.5.1 호격 조사가 이어질 때 54
2.5.2 용언 어간 말음이 ‘ㄺ’인 경우 55
2.5.3 용언 어간 말음이 ‘ㄼ’인 경우 56
2.5.4 ‘끊기다’의 발음 58
2.5.5 ‘담임’의 발음 59
2.6 /의/, /위/의 발음 60
2.6.1 /의/의 발음 61
2.6.2 /위/의 발음 62
2.7 경계 뒤 ‘ㅎ’의 발음 63
2.8 용언 활용에서의 이중모음화 64
2.9 ‘수-’의 형태 65
2.10 ‘삐치다’의 형태 67

3. 사회 언어학적 요인에 따른 발음 경향 69
3.1 경음화 71
3.1.1 고유어 복합어의 경우 71
3.1.2 한자어의 경우 79
3.2 ㄴ-첨가 82
3.2.1 고유어 합성어의 경우 83
3.2.2 한자어 파생어의 경우 84
3.3 장단음의 발음 86
3.3.1 기저 장음의 경우 87
3.3.2 기저 단음의 경우 100
3.3.3 정리 104
3.4 ㄴ-ㄹ 연쇄의 발음: ‘신선로’의 경우 105
3.5 기타 106
3.5.1 받침의 발음: ‘맑지’의 겹받침 ‘ㄹㄱ’의 실현 106
3.5.2 /의/의 발음 107
3.6 정리 110

4. 후기: 표준어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위하여 111
4.1 표준어의 과거와 현재 112
4.1.1 표준어의 과거 112
4.1.2 표준어의 현재 114
4.1.3 규범적 표준어 개념의 문제점 120
4.2 표준어의 재정립을 위한 제언 122
4.2.1 언어로서의 표준어:
우리나라에서 공통 방언은 필요한가? 122
4.2.2 어휘로서의 표준어: 표준 어형과 그 발음 125
4.3 교육과 방송의 표준어 129
4.4 언어 정책의 선결 조건 131
4.5 결론 132

참고문헌 135

부 록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