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국어교육의 미래
1장 국어교육의 영역 구분과 교과서
2장 국어과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
3장 국어과 교수 ·학습 평가 개선
4장 민족 정체성 확립과 국어교육
5장 교과서 개발과 편수용어
6장 좋은 교과서 개발과 정책수립의 방향
7장 국어교육과 문자교육 정책

제2부 국어교육과 생활
1장 <용비어천가>의 감화적 표현
2장 동물 속담의 발상과 표현교육의 원리

제3부 문학교육의 구조
1장 문학교육의 구조와 본질
2장 교육과정과 문학교사의 역할

제4부 문학교육과 교재
1장 문학 교육과정 내용의 교재화
2장 문학 교수 ·학습과 문학 교재 편수
3장 문학 교육과정의 특성과 문학교재 개발
4장 개화기 교과서에 나타난 문학교육

제5부 문학교육의 실천
1장 <용비어천가> 문학사상의 발상과 교육
2장 <춘향전>의 PUN 양상과 교육
3장 <전우치전>의 교육적 발견과 그 의미
4장 관동별곡의 상상적 분석과 의미 구조

제6부 문학교육과 철학
1장 한국문학의 전통과 그 계승
2장 사명대사와 도교사상
3장 한국 전후 단편소설에 나타난 애정관
4장 삶을 창조하는 독서와 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