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릿말

1. 들머리 = 15

2. 입말과 글말의 일반적 특성 = 21
2.1. 입말과 글말의 차이점 = 21
2.1.1. 다양성과 단순성 = 22
2.1.2. 즉각성과 계획성 = 23
2.1.3. 친교성과 제보성 = 24
2.1.4. 표현성과 서술성 = 26
2.1.5. 포함성과 분리성 = 27
2.1.6. 구체성과 추상성 = 28
2.1.7. 순간성과 영구성 = 29
2.1.8. 동태성과 정태성 = 30
2.1.9. 모호성과 명시성 = 31
2.1.10. 비논리성과 논리성 = 32
2.1.11. 비격식성과 격식성 = 33
2.1.12. 상황 의존성과 문맥 의존성 = 35
2.2. 간추림= 36

3. 입말과 글말의 어휘 의미론적 특성 = 39
3.1. 비격식적 어휘와 격식적 어휘 = 40
3.1.1. 명사 = 41
3.1.1.1. 자립 명사 = 41
3.1.1.2. 의존 명사 = 42
3.1.2. 대명사 = 43
3.1.2.1. 인칭 대명사 = 43
3.1.2.2. 지시 대명사 = 46
3.1.3. 수사 = 47
3.1.3.1. 수량 수사 = 48
3.1.3.2. 순서 수사 = 49
3.1.4. 동사 = 50
3.1.4.1. 자립 동사 = 50
3.1.4.2. 보조 동사 = 51
3.1.5. 형용사 = 52
3.1.5.1. 자립 형용사 = 53
3.1.5.2. 보조 형용사 = 54
3.1.6. 관형사 = 55
3.1.7. 부사 = 56
3.1.8. 감탄사 = 57
3.1.9. 접속사 = 58
3.1.10. 조사 = 59
3.1.10.1. 격조사 = 60
3.1.10.2. 접속 조사 = 61
3.1.10.3. 특수 조사 = 62
3.2. 비격식적 어미와 격식적 어미 = 63
3.2.1. 종결 어미 = 64
3.2.2. 연결 어미 = 70
3.3. 특수 어휘와 일반 어휘 = 72
3.3.1. 주저어 = 72
3.3.2. 부가어 = 74
3.3.3. 지소어 = 76
3.3.4. 관용어 = 78
3.3.5. 비속어 = 79
3.3.6. 은밀어 = 81
3.3.7. 욕설어 = 82
3.3.8. 존대어 = 83
3.3.9. 유아어 = 85
3.3.10. 금기어 = 86
3.3.11. 두자어 = 88
3.3.12. 혼합어 = 90
3.3.13. 축약어 = 91
3.3.14. 전문어 = 93
3.3.15. 유행어 = 95
3.3.16. 비표준어 = 97
3.4. 간추림 = 98

4. 입말과 글말의 문장 의미론적 특성 = 101
4.1. 중의적 표현과 단의적 표현 = 102
4.2. 비축어적 표현과 축어적 표현 = 106
4.3. 간접적 표현과 직접적 표현 = 110
4.3.1. 서술문 = 112
4.3.2. 질문문 = 116
4.3.3. 명령문 = 122
4.3.4. 제안문 = 125
4.3.5. 감탄문 = 129
4.3.6. 약속문 = 134
4.3.7. 허락문 = 137
4.4. 반복적 표현과 단일적 표현 = 140
4.5. 간추림 = 141

5. 입말과 글말의 통어론적 특성 = 143
5.1. 어순 = 143
5.1.1. 주어, 목적어, 그리고 서술어 = 144
5.1.2. 주어, 위치어, 그리고 서술어 = 145
5.1.3. 주어, 방편어, 그리고 서술어 = 147
5.1.4. 주어, 비교어, 그리고 서술어 = 148
5.1.5. 주어, 부사어, 그리고 서술어 = 149
5.1.6. 주어, 인용어, 그리고 서술어 = 150
5.1.7. 독립어, 주어, 그리고 서술어 = 151
5.2. 조사의 생략 = 153
5.2.1. 격조사 = 153
5.2.1.1. 주격 조사 = 154
5.2.1.2. 목적격 조사 = 156
5.2.1.3. 위치격 조사 = 157
5.2.1.4. 비교격 조사 = 159
5.2.2. 보조 조사 = 161
5.2.3. 접속 조사 = 163
5.3. 문장 성분의 생략 = 165
5.3.1. 주어 = 166
5.3.2. 서술어 = 169
5.3.3. 목적어 = 173
5.3.4. 위치어 = 176
5.3.5. 방편어 = 179
5.3.6. 비교어 = 182
5.3.7. 부사어 = 185
5.3.8. 인용어 = 188
5.3.9. 독립어 = 191
5.4. 통어적 적격성 = 193
5.4.1. 비문법적 문장과 문법적 문장 = 194
5.4.2. 미완성 문장과 완성 문장 = 197
5.5. 문장의 구조 = 203
5.5.1. 단문과 복문 = 203
5.5.2. 주제-설명 구조와 주어-서술어 구조 = 207
5.5.3. 동격 구문 = 208
5.5.4. 부정문 = 209
5.5.5. 긍정문과 이중 부정문 = 212
5.5.6. 능동문과 피동문 = 213
5.5.7. 문장 부사 구문 = 215
5.5.8. 언급절 구문 = 216
5.5.9. '것' 명사절과 접속 명사구 = 218
5.5.10. 대우법 = 220
5.5.11. 시제 = 229
5.5.12. 보고법 = 232
5.5.13. 대동사 = 233
5.6. 간추림 = 234

6. 입말과 글말의 음운론적 특성 = 239
6.1. 비분절 음운과 의미 = 240
6.1.1. 음조, 문장 유형 및 의미 = 242
6.1.1.1. 음조와 문장 유형 = 242
6.1.1.2. 음조와 의미 해석 = 245
6.1.2. 운률과 의미 = 250
6.1.2.1. 음장과 의미 해석 = 251
6.1.2.2. 개리연접과 의미 해석 = 253
6.2. 생략현상 = 255
6.2.1. 단어 내부에서의 생략 = 256
6.2.1.1. 자음 생략 = 256
6.2.1.2. 모음 생략 = 258
6.2.1.3. 자모 생략 = 260
6.2.2. 단어와 다른 요소의 통합에 있어서의 생략 = 262
6.2.2.1. 체언 뒤의 지정사 '이-' 생략 = 263
6.2.2.2. 체언과 조사의 통합에 있어서의 생략 = 264
6.2.2.3. 어간과 어미의 통합에 있어서의 생략 = 272
6.2.2.4. 보조동사 '하-'의 생략 = 292
6.2.2.5. 보조용언 '아니하다'의 'ㅣ'와 'ㅏ'생략 = 293
6.2.2.6. 파생 접미사 '-하-'의 생략 = 294
6.2.2.7. 특수 조사 '고'와 대동사 '하-'의 생략 = 295
6.3. 축약 현상 = 296
6.3.1. 두 음절의 한 음절 사잇소리 되기 = 297
6.3.2. 두 음절의 한 음절 겹홀소리 되기 = 298
6.3.3. 대명사와 조사 '의'의 축약 = 301
6.4. 생략과 축약 현상 = 303
6.4.1. 어중음 생략과 음절 축약 = 303
6.4.2. 어말음 생략과 음절 축약 = 304
6.4.3. 'ㅏ' 생략과 자음 축약 = 307
6.4.4. 'ㅏ'와 'ㅣ' 생략과 자음 축약 = 309
6.4.5. '고 하-' 생략과 음절 축약 = 310
6.5. 첨가 현상 = 311
6.5.1. 자음 첨가 = 311
6.5.2. 모음 첨가 = 314
6.5.3. 보조 조사 첨가 = 316
6.6. 생략과 첨가 현상 = 317
6.6.1. 체언과 조사의 통합에 있어서의 생략과 첨가 = 317
6.6.2. 어간과 어미의 통합에 있어서의 생략과 첨가 = 319
6.7. 음운 변동 현상 = 320
6.7.1. 모음 변동 = 320
6.7.1.1. 단어 내부에서의 모음 변동 = 321
6.7.1.2. 체언과 조사의 통합에 있어서의 모음 변동 = 324
6.7.1.3. 어간과 어미의 통합에 있어서의 모음 변동 = 331
6.7.2. 자음 변동 = 335
6.7.2.1. 단어 내부에서의 경음화 = 335
6.7.2.2. 단어 내부에서의 격음화 = 336
6.8. 요약 = 338

7. 마무리 = 341

참고문헌 = 349
찾아보기 =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