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화법의 개념과 범위
1. 화법의 개념과 ‘더 정확히 말하는 방법
2. ‘구어 화법’과 ‘문어 화법
3. 화법과 의사소통 과정
4. 화법의 여러 가지 상황

2부. 정확한 구어 화법과 미디어 언어 분석
1. 대화의 격률들
1.1. Grice(1975)의 협력 원칙과 격률
1.2. Lakoff(1977)의 공손성 규칙
1.3. Leech(1983)의 공손성 원리
1.4. Brown & Levinson(1987)의 체면 위협 행위

2. 구어 화법의 언어 예절
2.1. 호칭어 및 지칭어
2.1.1. 가정에서의 호칭어 및 지칭어
2.1.2. 사회에서의 호칭어 및 지칭어
2.2. 높임법
2.2.1. 높임법의 종류
2.2.2. 호칭 및 지칭과 높임법
2.2.3. ??표준 언어 예절??(2011)의 높임법
2.3. 인사말
2.3.1. 일상생활의 인사말
2.3.2. 특정한 때의 인사말

3. 미디어의 언어 규정
3.1. 국어기본법과 미디어 언어 사용
3.2. 방송 심의에 관한 규정
3.3. 영화 심의 규정
4. 정확한 구어 화법을 위한 언어 규범 - 표준 발음법
4.1. 발음과 표기, 그리고 표준 발음법
4.2. 표준어 규정 속의 표준 발음법과 그 내용
4.2.1. 모음의 발음
4.2.2. 소리의 길이, 음장
4.2.3. 받침의 발음
4.2.4. 음의 동화
4.2.5. 경음화
4.2.6. 음의 첨가
3부. 정확한 문어 화법과 미디어 언어 분석
1. 자막의 기능과 미디어 언어
1.1. 음성 언어의 한계 극복
1.2. 프로그램 진행의 새로운 수단
1.3. 추가 정보의 제공
1.4. 오류의 수정
2. 문어 화법의 언어 예절
2.1. 편지, 전자 우편, 연하장
2.2. 결혼 청첩장, 결혼 축하, 결혼 축하에 대한 감사장
2.3. 부고, 조위, 조장과 조전, 조위에 대한 감사장
2.4. 기타(축하, 위로)

3. 정확한 문어 화법을 위한 언어 규범
3.1. 한글 맞춤법
3.1.1. 총칙
3.1.2. 자모
3.1.3. 소리에 관한 것
3.1.3.1. 된소리
3.1.3.2. 구개음화, ‘ㄷ’ 소리 받침, 모음
3.1.3.3. 두음 법칙
3.1.3.4. 겹쳐 나는 소리
3.1.4. 형태에 관한 것
3.1.4.1. 체언과 조사, 용언과 어미
3.1.4.2.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3.1.4.3. 준말
3.1.5. 띄어쓰기
3.1.6. 그 밖의 것
3.2. 표준어 사정 원칙과 표준어의 변동
3.2.1. 표준어 규정의 사정 원칙
3.2.1.1. 총칙
3.2.1.2.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3.2.1.3.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3.2.2. 표준어의 변동
3.2.2.1. 2011년에 새로 추가된 표준어
2.2.2.2. 2014년에 새로 추가된 표준어
3.2.2.3. 2015년에 새로 추가된 표준어
3.2.2.4. 2016년에 새로 추가된 표준어
3.2.2.5. 한국어문기자협회(2010)과 표준어의 변동
3.3. 외래어 표기법과 외래어 표기의 현실
3.3.1. 외래어 표기법
3.3.2. 외래어 표기의 현실
3.4. 로마자 표기법과 로마자 표기의 현실
3.4.1. 로마자 표기법
3.4.2. 로마자 표기의 현실

참고문헌 246

부록
1. 한글 맞춤법
2. 표준어 규정
3. 외래어 표기법
4. 로마자 표기법
5. 표준 언어 예절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