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의미 관계와 단어 형성
1. 어휘 의미론의 의미 관계 / 15
1.1. 의미의 계열 관계 17
1.1.1. 유의 관계 17
1.1.2. 반의 관계 22
1.1.3. 상하 관계 24
1.2. 의미의 결합 관계 26
1.2.1. 다의어 26
1.2.2. 동음이의어 28
2.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본 의미 관계 / 31
2.1. 단어의 개념과 단어 형성의 요소 32
2.1.1. 단어 정의의 어려움 32
2.1.2. 단어의 종류 35
2.1.3. 어근과 접사 43
2.2. 형태론적 관점에서 본 의미 관계 67
2.2.1. 유의 관계의 형태론적 조명 68
2.2.2. 반의 관계의 형태론적 조명 73
2.2.3. 상하 관계의 형태론적 조명 76

제2부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본 어휘 사이의 의미 관계
3.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본 어휘 사이의 유의 관계 / 85
3.1. 어휘 사이의 유의 관계와 어종 85
3.1.1. 고유어와 고유어의 유의 관계 85
3.1.2. 고유어와 한자어의 유의 관계 94
3.1.3. 한자어와 한자어의 유의 관계 100
3.2. 한국어의 동의파생어와 저지 현상 106
3.2.1. 동의파생어의 범위와 저지 현상 109
3.2.2. 동의파생어의 유형과 특성 115
3.2.3. 동의파생어의 확장 가능성 126
3.3. 내적 변화어와 유의 관계 128
4.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본 어휘 사이의 반의 관계 / 143
4.1. 반의 관계 파생어의 형성과 유형 144
4.1.1. 반의 관계 접두 파생어의 형성과 유형 144
4.1.2. 반의 관계 접미 파생어 155
4.2. 반의 관계 합성어의 형성과 유형 160
4.3. 반의 관계를 이용한 임시어, 신어의 형성 165
5.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본 어휘 사이의 상하 관계 / 169
5.1. 공통 요소에 따른 상하 관계 170
5.1.1. 공통 요소를 가지지 않는 어휘 사이의 상하 관계 170
5.1.2. 공통 요소를 가지는 어휘 사이의 상하 관계 171
5.2. 상하 관계의 측면에서 본 보통 명사와 고유 명사 175
6.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본 어휘 사이의 의미장 / 179
6.1. 공통 요소를 가지지 않는 어휘 사이의 의미장 180
6.2. 공통 요소를 가지는 어휘 사이의 의미장 181

제3부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본 어휘 내부의 의미 관계
7.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본 어휘 내부의 유의 관계 / 199
7.1. 어휘 내부의 유의 관계와 어종 199
7.2. 동의 중복 현상과 직접 성분 분석 203
7.3. 반복 합성어와 동의 관계 209
7.4. 통사적 결합어와 유의 관계 215
8.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본 어휘 내부의 반의 관계 / 221
8.1. 어종에 따른 반의 관계 합성어의 형성과 유형 221
8.2. ‘호불호’류와 ‘직간접’류 합성어의 형성과 유형 225
8.3. 통사적 결합어와 반의 관계 235
9.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본 어휘 내부의 상하 관계 / 237
9.1. 어휘 내부의 상하 관계와 어종 237
9.2. 구성 요소의 구조에 따른 어휘 내부의 상하 관계 241
9.3. 통사적 결합어와 상하 관계 247
10.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본 어휘 내부의 의미장 / 255
10.1. 어휘 내부 의미장의 범위 255
10.2. 어휘 내부의 의미장과 의미 관계 263
10.3. 어휘 내부의 의미장과 어종 269
11. 단어 형성의 측면에서 본 어휘 내부의 은유와 논항 구조 / 273
11.1. 어휘 내부의 은유와 의미 관계 273
11.2. 은유가 나타나는 단어 내부의 구성 요소와 논항 구조 278

제4부 의미 관계 형태론의 의의와 전망
12. 의미 관계 형태론의 의의와 한계 / 295
12.1. 의미 관계 형태론의 의의 295
12.2. 의미 관계 형태론의 한계 303
13. 의미 관계 형태론의 전망 / 309
13.1. 체계로서의 의미 관계 형태론 309
13.2. 의미 관계 형태론의 관점에서 본 연구 과제 315

참고문헌 / 325
부록 / 341
찾아보기 / 383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