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ⅴ

01 총론 = 1
1. 언어에 대한 이해 = 1
1.1. 언어와 인간 = 1
1.2. 언어와 사고(思考) = 2
1.3. 언어의 정의(定義) = 3
2. 우리말과 우리글 = 5
2.1. 언어활동(言語活動)의 성립 = 5
2.2. 우리의 언어활동과 문자 생활 = 6
2.3. '한글'의 구조적 특성 = 8
2.4. 한국어의 형성 = 10
2.5. 한국어의 계통성 = 11
2.6. 한국어의 언어 유형(言語類型) = 12
3. 언어와 문법 = 12
3.1. 문법성(文法性)이란 무엇인가 = 12
3.2. 언어학과 문법론 = 13
3.3. 문법론의 두 영역(領域) = 14
3.4. 문법론의 유형(類型) = 14
3.5. 문법 연구의 방법 = 19
3.6. 우리말에 대한 문법 연구 개관(槪觀) = 19
4. 문법학의 과제 = 23
4.1. 문법학의 자리 = 23
4.2. 문법론의 작업 = 24
4.3. 언어 형식(linguistic form)의 가지가지 = 25
4.4. 분석의 절차(節次) = 27
5. 언어 구조와 그 분석 = 28
5.1. 문장(文章, sentences)과 문(文, sentence) = 28
5.2. 문형(文型)이란 무엇인가 = 33
5.3. 조사(助辭)와 어미(語尾)의 기능과 그 분포 = 42
02 형태론(形態論, morphology) = 49
1. 단어의 문법상의 위치 = 49
1.1. 단어의 정의 = 49
1.2. 여러 언어 형식(言語形式)에서의 단어(單語)의 위치 = 52
2. 형태론의 두 분야 = 54
2.1. 활용 형태론(活用形態論)과 어휘 형태론(語彙形態論) = 54
2.2. 단어 분석론과 단어 형성론과의 관계 = 55
03 품사론(品詞論) = 77
1. 품사의 명칭과 성격 = 78
1.1. 품사의 수(數)와 그 명칭(名稱) = 78
1.2. 체언(體言)ㆍ용언(用言)의 개념 규정 = 79
2. 체언(體言) = 79
2.1. 체언류(體言類)-명사(名詞)ㆍ대명사(代名詞)ㆍ수명사(數名詞) = 79
2.2. 명사의 사성(詞性) = 80
2.3. 대명사의 사성(詞性) = 84
2.4. 수명사(數名詞)의 품사성 = 86
3. 체언(體言)과 조사(助辭) = 87
3.1. 조사의 체계(體系) = 88
3.2. 조사의 분류 = 88
4. 용언(用言) = 98
4.1. 용언류(用言類)-동사(動詞)ㆍ형용사(形容詞) = 98
4.2. 동사ㆍ형용사의 변별적 자질 = 99
4.3. 용언의 구조 = 100
4.4. 동사ㆍ형용사의 활용체계(活用體系) = 100
4.5. 활용의 두 축(軸) = 101
4.6. 동사(動詞) = 104
4.7. 형용사(形容詞) = 109
4.8. 본 용언(本用言)과 보조용언(補助用言)의 교착성(膠着性) = 112
4.9. 어간(語幹)ㆍ어미(語尾)의 변별(辨別) = 113
4.10. 접요사(接腰辭)에 의한 용언(用言)의 파생(派生) = 115
5. 수식사(修飾詞) : 관형사(冠形詞)ㆍ부사(副詞) = 116
5.1. 수식(修飾)과 피수식(被修飾)의 한계 = 117
5.2. 관형사의 분류 = 118
5.3. 부사의 분류 = 119
6. 감탄사(感歎詞) = 124
6.1. 감탄사의 뜻보임 = 124
6.2. 문장 구성상으로 본 감탄사의 위치 = 125
6.3. 감탄사의 심태 반응(心態反應) = 125
7. 품사의 전환(轉換)ㆍ전성(轉成) = 126
7.1. 품사의 전환(轉換) = 126
7.2. 품사의 전성(轉成) = 127
7.3. 품사의 변환(變換) = 129
04 통사론(統辭論, syntax) = 131
1. 통사론과 그 의의(意義) = 131
1.1. 통사론(統辭論)과 통어론(統語論) = 132
1.2. 통사론의 영역(領域) = 133
1.3. 기본 통사 규칙(基本統辭規則) = 134
1.4. 통사적 구조(syntactic structure)의 층위(層位) = 136
2. 문(文)의 성립(成立) = 137
2.1. 문(文)의 구성 조건(構成條件) = 138
2.2. 문장(sentence)과 절(clause) = 139
2.3. 통사적 구성(統辭的構成, syntactic construction)의 유형(類型) = 140
2.4. 문(文)의 성분(成分) = 142
05 구절론(句節論) = 175
1. 구(句)의 성립 배경 = 178
2. 문장 성분(文章成分)과 구 성분(句成分) = 180
2.1. 단어에 값하는 구 = 181
2.2. 구성으로 본 구 = 181
2.3. 주어구(主語句)와 주어절(主語節) = 182
2.4. 서술구(敍述句)와 서술절(敍述節) = 182
2.5. 목적어구와 목적절 = 186
2.6. 보어구(補語句)와 보어절 = 186
2.7. 관형구와 관형절 = 187
2.8. 부사구와 부사절 = 188
2.9. 독립어구(獨立語句) = 190
3. 문장절(文章節, sentential clause) = 190
3.1. 복문(複文) = 191
3.2. 구문 도해(構文圖解) = 192
3.3. 관용구(慣用句) = 194
06 문장의 서법(敍法) = 199
1. 서법(敍法)이란 무엇인가 = 199
2. 종결 서법(終結敍法)에 의한 문(文)의 분류 = 201
3. 서술사(敍述詞)에 의한 서법 제약(敍法制約) = 204
4. 활용 어미에 의한 대우 표현(待遇表現) : 상대 대우법(相對待遇法) = 205
4.1. 보조 어미(補助語尾)에 의한 대우 표현 : 행위자 대우법(待遇法) = 207
4.2. 대우 표현의 실제 = 209
5. 능동태 표현과 피동태 표현 = 212
6. 시제(時制, tense) 표현 = 218
6.1. 시제(時制, tense)와 상(相, aspect) = 219
6.2. 시제(時制)와 시상(時相)의 구별 = 222
07 문장 전개(文章展開)의 실제(實際) = 225
1. 성분의 생략 = 225
2. 성분의 도치(倒置) = 226
3. 호응(concord)의 규칙 = 227
3.1. 시제의 호응 = 228
3.2. 진술부사의 호응 = 228
3.3. 대우법의 호응 = 228
3.4. 상징어(象徵語)의 호응 = 229
3.5. 대구(對句)의 호응 = 229
3.6. 앞뒤 구절(句節)의 호응 = 229
4. 문장 분석(文章分析) = 229
4.1. 문장의 유형(類型) = 231
4.2. 서술 어미의 단순화 현상 = 235
4.3. 문장부호(文章符號) = 236
5. 문법학의 발전적 과제-텍스트 문법 = 237

〈부록〉 문법론의 현안(懸案)이 되어 있는 과제(課題)들 = 243
[문법 현안1] 단어 '먹이'가 어떤 근거로 복합어인가 = 245
[문법 현안2] {-시-}가 어미인가 = 253
[문법 현안3] 한국어 서술어의 속성(屬性) = 265
[문법 현안4] 포유문[안은 문장]이 복문인가 = 283

참고문헌 = 303
찾아보기 =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