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교육 과정 및 교재 연구
바람직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위한 몇 가지 제언_양영희11
교양 한국어 이러닝 콘텐츠 개발 방안_민진영, 이은경39
UST 한국어 초급 과정을 중심으로한국어교재 연구에서의 상담기법 적용_이윤진79

■ 문법 교육 연구
보조사를 포함한 한국어 교육 문법 유형 분석_유해준113
한국어 유사 문법 항목의 유형 분류 연구_이지용129

■ 언어 기능 교육 연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음장 오류 연구_임칠성ㆍ곽일성(郭一?)161
상해 지역 초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읽기에서 어휘 시소러스(thesaurus)의 응용_조형일181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격식적 글쓰기 교수ㆍ학습에 대한 제언_조경순ㆍ유하(劉霞)203/ 중국 산동성의 사례를 대상으로

■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 연구
한국어 학습자의 시제 개념 습득 연구_강남욱239/ 과거 시제 형태의 습득 양상을 중심으로
양태 표현의 화용적 의미에 대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지각 양상 연구_이정란269

■ 담화 교육 연구
한국어 말하기 평가를 위한 내러티브 능력의 개념 연구_손희연299
한국어교육에서 대화 분석 방법론의 수용 양상과 발전 가능성_백승주317

■ 다문화 및 지역어 교육 연구
전남지역 중도입국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 연구_이효인355
한국어교육에서의 지역어 교육의 필요성과 방안_조혜화ㆍ조재형379

[예스24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