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5
제1부 양태 표현
1장 ''-았-''의 양태적 의미와 기능에 대하여 = 13
2장 현대 한국어의 시간인식 양상 연구 - 시간관련 양태부사를 중심으로 = 37
3장 한국어 짐작 추측의 인식양태 고찰 - 구 구성형식의 표현을 중심으로 = 63
4장 한국어 양태소의 담화인지 기능에 대한 고찰 - ''-네'', ''-군'', ''-지''를 중심으로 = 93
제2부 어휘 표현
1장 육류 명칭고 - 소고기와 돼지고기 명칭을 중심으로 = 121
2장 악기 연주동사 의미 연구 = 147
3장 지명 표기 연구에 대한 일고찰 - 월탄리 지명과 관련하여 = 167
4장 ''동막'' 지명의 형태의미론적 고찰 = 187
제3부 문체적 표현
1장 한국어 교육에서 텍스트 자료 수준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 양적ㆍ질적 이독성 공식 개발을 중심으로 = 217
2장 교과서의 문체적 양상 변화 고찰 -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의 비문학지문을 중심으로 = 287
3장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의 문체 변화 양상 - 초등학교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 325
4장 교육과정에 따른 초ㆍ중학교 급간 문체 변화 양상 고찰 -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 355
5장 초기 교육과정기 국어 교과서 문체 분석 - 중학교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 = 387
6장 외국인이 이해하기 어려운 한국어 시간표현 선어말어미 고찰 - 중국인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 413
7장 중국 조선족 중ㆍ고등학생들의 조선어 작문에 나타난 중국어 침투 양상 및 원인분석 - 중국 길림성과 흑룡강성을 중심으로 = 437
8장 중국 2016년 개정「조선말 띄여쓰기」의 변화 내용과 남북한 현행 띄어쓰기 규정 비교 = 471
제4부 기타 표현
1장 ''NP로''의 의미역 = 511
2장 북한의 언어정책 변화 고찰 = 529
참고문헌 = 566
[부록] 칼럼 모음 = 594


[국립중앙도서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