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 ⅲ
제1편 총론
문법과 텍스트과학 / 고영근 = 3
제2편 음운론과 자소론
훈민정음 중성자의 음운대립 / 정광 = 31
훈민정음의 자소적(字素的) 독창성 / 이상억 = 47
부호의 자형(字形)과 제작 원리 / 이승재 = 61
고대 한국한자음에 대한 한 고찰 / 권인한 = 79
접사첨가의 융합 현상과 어기의 충실성 / 안상철 = 97
음운론과 형태론의 인접 현상 / 권경근 = 113
제3편 형태론
중세·근대국어 형태론의 몇 문제 / 이현희 = 139
11세기 문법형태들을 찾아서 / 김영욱 = 157
''동사어간 + 아/어 + 동사어간'' 합성동사 형성의 원리 / 구본관 = 173
단어를 바라보는 눈 / 시정곤 = 195
형태론에서의 논항 충족과 논항 전수 / 채현식 = 217
''만하다''의 위상 정립을 위하여 / 김정남 = 241
형태소와 어소 재론 / 최형용 = 263
문장형 고유명의 형태론 / 송원용 = 277
신어(新語) 형성과 사용의 화용론 / 김진형 = 295
제4편 통사론과 의미론
관형사형 어미 ''-(았)던''의 의미에 대하여 / 이필영 = 317
선어말어미 ''-ナ-(-겨-)''에 대하여 / 정재영 = 335
중세국어 선어말어미 ''거/어''의 문법 / 한재영 = 363
''-게 하다'' 사동문의 피사동주에 대한 고찰 / 최동주 = 385
사동문 피사역주의 격표지 중첩에 관한 문제 / 연재훈 = 411
문법 기술을 위한 시점 연구 / 신선경 = 431
''ヒ(ㅅ)''의 유형적 분류에 대하여 / 권용경 = 451
중세국어의 보어 설정에 대하여 / 양정호 = 467
{-느라(고)}에 대하여 / 이카라시 고이치 = 483
제5편 텍스트과학
간텍스트성, 변형, 다시쓰기 / 박금자 = 509
국어의 지시 화행에 대한 응대 수행의 방법 / 장경희 = 537
국어 입말 담화에서의 인용문 / 이기갑 = 573
문법을 통해서 본 「동동」의 화자 문제 / 유동석 = 585
우리 나라 공문서의 텍스트성에 관한 연구 / 장소원 = 607
응결장치와 텍스트 경계 / 고성환 = 633
『월인석보』 「안락국전」의 텍스트 구조 / 신지연 = 653
『월인천강지곡』의 텍스트 형성 규칙 / 윤석민 = 675
서평 텍스트에 대한 계량적 고찰 / 이홍식 = 705
한국어 교재에서의 어미의 사용 양상 / 이은경 = 729
텍스트이론과 만화 / 양명희 = 759
찾아보기 = 785
편집을 마치고서 = 7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