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 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필요성
(1)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 가속화에 따른 다수자 청소년 문화교육의 필요성 증가
(2) 학령기 다문화 청소년 증가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상의 필요성 증대
(3) 학습자의 실질적 변화를 가져올 문화교육 방안 마련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대
2. 연구의 범위와 내용
3. 선행 연구 검토

II. 다문화 시대 문화교육 커리큘럼의 이론적 배경과 해외 사례
1. 다문화 시대와 문화 다양성 교육
2.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
3. 문화 다양성 교육의 핵심역량
4. 해외 사례.문화교육 커리큘럼을 중심으로
1) 캐나다
2) 호주

III. 다문화 시대 문화교육의 현황.실태 및 요구 조사
1. 현행 교육과정에서 문화교육 관련 내용 검토
1) 2015 KSL 한국어교육과정
2)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2012.12. 고시) 및 교과서
3)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2. 학습자 대상 실태 및 요구 조사 - 경기도 지역 다문화 중점 중·고교를 중심으로
1) 설문조사 개요
2) 분석 결과
3. 전문가 대상 실태 및 요구 조사
1) 조사 개요
2) 분석 결과
4. 지향점 도출
(1) 역량 중심 교육과정 지향
(2) 체계성·위계성을 갖춘 교육과정 지향
(3) 학습자의 문화교육 실태와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 지향
(4) 문화 다양성 가치를 내면화할 수 있는 교육과정 지향
(5) 실천적 교수·학습으로 연계될 수 있는 교육과정 지향

IV. 다문화 시대 문화교육 커리큘럼 개발
1. 문화교육 핵심 개념 체계 개발
1) 문화교육 핵심 개념의 구성
2) 문화교육 핵심 개념의 체계화
(1) 목표
(2) 내용-핵심 개념 및 성취기준
(3) 교수·학습의 방향
2. 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1) 기존 프로그램 분석
2) 프로그램 개발 방향
3. 문화교육 커리큘럼 설계안
1) 표준모델 커리큘럼
2) 학교 급별 차등 모델 커리큘럼
(1) 중학교 문화교육 커리큘럼
(2) 고등학교 문화교육 커리큘럼

V. 결 론

참고문헌

부 록
1. 학생용 설문지
2. 전문가용 요구조사지

찾아보기

[알라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