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권호명 : 1


화보
처용연구전집을 발간하며 / 김경수
처용가 연구사 - 어학 분야 / 신재홍
가요(歌謠) / 金澤庄三郞 = 1
국문(方言俗子) / 點貝房之進 = 5
향가 / 권덕규 = 11
처용가 / 小倉進平 = 13
처용가해독 / 前間恭作 = 23
처용가 / 유창선 = 31
처용가 / 신태현 = 37
처용가 / 양주동 = 39
향가 / 방종현 = 91
처용가 / 지헌영 = 95
처용가 / 홍기문 = 99
1. 유사의 기록 = 99
2. 노래의 본문 = 102
3. 노래의 역문 = 103
4. 해석 = 105
처용가 / 이탁 = 123
향가 해독의 방법 / 이기문 = 125
처용가 / 김준영 = 131
처용랑 / 정렬모 = 139
1. 해제 = 139
2. 새로 시도한 독해 = 142
3. 해석 = 143
4. 평설 = 155
고지 얼굴 노래(처용가) / 김선기 = 161
처용가 / 서정범 = 201
1. 머리말 = 201
2. 疫神의 正體 = 202
3. 處容과 巫歌 = 203
4. 處容의 語源 = 203
5. 處容歌 = 206
6. 疫神의 問題點 = 208
7. 處容의 아내 = 210
8. 맺는말 = 212
처용가 / 김상억 = 215
1. 해제(解題) = 216
2. 주석 = 220
3. 이 노래의 이해 = 245
처용가 / 서재극 = 249
향가 해독의 현위치 / 김근수 = 253
1. = 253
2. = 261
3. = 265
처용가 / 김완진 = 267
''처용''의 어의고 / 강헌규 = 273
1. 序論 = 273
2. 新羅 鄕歌 및 高麗歌謠에 나타난 ''處容'' = 274
3. 結語 = 310
처용가의 한 해독 / 고영근 = 317
一 = 317
二 = 318
三 = 323
四 = 327
처용가의 재검토 / 박창원 = 329
1. 서론 = 329
2. 검토의 실제 = 331
3. 결론 = 344
처용가 / 정창일 = 347
처용가 해독의 재검토 / 고정의 = 363
1. = 363
2. = 363
3. = 381
4. = 383
''처용가'' 제8구에 대하여 / 최남희 = 385
1. 머리말 = 385
2. 신라향가의 부림자리토씨 = 387
3. 「奪叱良乙」의 풀이 = 392
4. 「何如爲理古」의 풀이 = 403
5. 「唱歌作舞」의 의미 = 406
6. 맺는말 = 408
처용가 / 유창균 = 409
처용가 / 강길운 = 473
1. 삼국유사의 기록 = 473
2. 노래의 원문 = 475
3. 노래의 재구 = 475
4. 노래의 해석 = 476
5. 주해 = 476
6. 여론 = 495
7. 여러 향가해독 = 499
처용가 / 양희철 = 501
處容歌 ''脚烏伊''의 해독에 대하여 / 황선엽 = 535
1. 서론 = 535
2. ''脚烏伊''의 해독과 ''허튀''의 의미 = 536
3. 마무리 = 552
處容歌 / 신재홍 = 555
〈부록〉
고려 처용가 관련 논문
처용가 / 양주동 = 567
처용 / 지헌영 = 627
처용가 / 김형규 = 635
처용가 / 박병채 = 667


권호명 : 2(1)


화보
처용연구전집을 발간하며 / 김경수
처용전승의 설화 중심 문학적 연구사 / 김학성
처용랑전설고 / 손진태 = 1
처용가에 취하야 / 안자산 = 7
동경과 처용가에 취하야 / 손진태 = 11
「처용가」고 / 황패강 = 15
1. 序論 = 15
2. 本論 = 18
3. 結論 = 39
처용설화의 연구 / 장주근 = 43
1. 序論 = 43
2. 僻邪假面의 人格化 = 44
3. 處容說話의 形成과 變化의 過程 = 60
4. 結論 = 80
처용설화의 형성고 / 김정업 = 85
1. 序言 = 85
2. 處容說話의 形成過程 = 87
3. 南方系部族의 讓國說話(原初型) = 90
4. 地名 및 綠起傳說化의 徑路 = 94
5. 꽃섬傳과 開雲浦傳說의 結合 = 95
6. 結言-門神信仰과 假面 및 處容舞 = 97
처용전승의 구조적 연구 / 설성경 = 101
1. 序論 = 101
2. 處容傳承의 두 系列 = 101
3. 長城 處容岩의 說話分析 = 103
4. 處容說話의 構造와 곶감說話의 轉移態 = 104
5. 構造的 입장에서 본 處容의 語義 = 106
6. 結語 = 108
처용설화의 형성과 변이과정 / 김학성 = 109
1. 序論 = 109
2. 處容說話의 形成과 變異 = 115
3. 處容說話와 處容歌의 關係 = 129
4. 結論 = 134
처용문헌고 / 윤영옥 = 137
1. 序 = 137
2. 處容關係文獻檢討 = 138
3. 斷片的인 處容文獻 = 150
4. 結 = 155
처용설화와 그 가요의 연구 / 김승찬 = 159
1. 序言 = 159
2. 國東巡幸과 山海精靈 = 160
3. 東海龍 所變과 輔佐王政 = 166
4. 處容歌 = 175
5. 結言 = 180
〈처용가〉에 대하여 / 최용수 = 183
1. 머리말 = 183
2. 처용과 용과의 관계 = 184
3. 처용과 보좌왕정(補佐王政) = 196
4. 처용과 벽사진경(벽邪進慶) = 203
5. 처용가 해석 = 208
6. 맺음말 = 214
처용가 / 박노준 = 217
1. 序 = 217
2. 處容郞 望海寺條의 主題文節 = 218
3. 主題文節의 分析과 處容郞 = 220
4. 處容사건과 處容歌의 分析 = 231
5. 結 = 245
처용가 연구 / 정병헌 = 247
1. 서론 = 247
2. 처용 설화의 전승 = 249
3. 삼국유사 소재 처용가 = 261
4. 악학궤범 소재 처용가 = 266
5. 결론 = 271
''처용랑 망해사''조의 구조와 의미 / 김문태 = 273
1. 머리말 = 273
2. 구조분석 = 274
3. 의미분석 = 281
4. 맺음말 = 286
「처용량 망해사」조와 「처용설화」의 연구 / 박기호 = 287
1. 머리말-爭點들 = 287
2. 해석대상의 확정과 텍스트의 신빙성 = 290
3. 記錄文의 단락구분과 題名 및 본조의 規定 = 293
4. 全體文脈의 遂字的 解釋 = 300
5. 「處容說話」의 해석 = 329
6. 「처용랑 망해사」와 「처용 설화」의 관계 = 336
7. 맺음말 = 338
처용노래와 그 이야기의 변신 모티프 / 임기중 = 339
1. 노래와 이야기의 씨앗 = 339
2. 처용이야기의 변신 대결 = 340
3. 처용노래의 변신완결과 그 구체화 = 346
4. 상승적인 변신의 환상 = 349
처용 설화의 서술 구조와 〈처용가〉의 성격 / 김학성 = 351
1. 머리말 = 351
2. 처용 설화의 서술 구조 = 352
3. 〈처용가〉의 성격 = 365
4. 맺는 말 = 376
처용설화의 불교적 연구 / 안태욱 = 379
1. 序論 = 379
2. 主要人物의 位相 = 385
3. 處容歌의 意味 分析 = 404
4. 結論 = 428
처용가의 서사적 이해 / 나경수 = 431
1. 처용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 = 431
2. 처용랑설화와 헌강왕설화의 서사구조 = 436
3. 헌강왕설화와 처용랑설화의 상관성 = 445
4. 〈처용가〉의 참요적 기능 = 457
5. 결론 = 461
「처용랑설화」의 생성적 의미에 관한 일고찰 / 민긍기 = 465
1. = 465
2. = 466
3. = 481
4. = 487
5. = 493
「처용랑 망해사」 설화의 구조와 그 해석 / 김경수 = 495
1. = 495
2. = 501
3. = 509
4. = 518
처용설화고 / 이유수 = 523
1. 序 = 523
2. 說話의 줄거리 = 524
3. 太和寺의 龍淵 = 527
4. 內港(絲浦)의 龍神 = 531
5. 外港(開雲浦)의 龍神 = 534
6. 望海寺와 望海臺 = 536
7. 成宗과 黃龍淵 = 538
8. 용금소와 白楊寺 = 540
9. 任辰倭亂과 護國龍神 = 542
10. 說話와 관련 地名 = 543
11. 處容祭儀 = 550
12. 結論 = 552
망부석과 처용설화 / 김석보 = 555
1. 望夫石 說話 = 555
2. 處容說話 = 560
처용전승의 전개양상과 의미 연구 / 김유미 = 565
1. 緖論 = 565
2. 處容傳承의 形成背景 = 573
3. 處容의 성격과 處容傳承의 전개양상 = 604
4. 漢詩에 반영된 處容 認識 = 677
5. 處容傳承의 후대적 수용과 의미 = 722
6. 結論 = 727
처용ㆍ처용 설화ㆍ처용가 / 양명학 = 739
1. 서론 = 739
2. 처용 설화의 역사성 = 740
3. ''처용가''와 처용 설화의 역학(易學)적 해석 = 745
4. 결론 = 748
처용랑 망해사의 사회사적 성격 / 김경수 = 751


권호명 : 2(2)


화보
처용연구전집을 발간하며 / 김경수
처용전승의 시가 중심 문학적 연구사 / 김학성
향가의 처용가와 여요의 처용가 / 김사엽 = 1
1. 鄕歌 處容歌 = 1
2. 高麗歌謠 處容歌 = 6
처용가의 미의식 / 황패강 = 13
1. 鄕歌硏究 대한 反省과 展望 = 13
2. 文獻資料에 대한 方法論的 態度 = 18
3. 處容硏究의 問題點 = 22
4. 處容歌의 美意識構造 = 36
〈고려처용노래〉 연구 / 려증동 = 51
1. 들머리 = 51
2. "신라처용노래"의 짜임 = 52
3. "고려처용노래"의 짜임 = 56
4. "고려처용노래"의 흐름 = 64
5. 조선시대의 "고려처용노래" = 66
6. 마무리 = 78
처용의 문학전승적 본질 / 최미정 = 81
1. 序論 = 81
2. 本論 = 84
3. 結論 = 112
「처용」-그 인간화와 예술화의 과정 / 홍경표 = 117
1. = 117
2. = 119
3. = 126
4. = 138
우주론적 언술로서의 처용가 / 이어령 = 141
1. 言述(discourse)의 定義 = 141
2. 처용설화의 언술 = 143
3. ''놀이''의 언술 = 145
4. 춤과 노래의 반복구조 = 148
5. 헌강왕 이야기와 처용 이야기는 동일한 언술의 세계 = 151
6. 방해자가 조력자가 되는 구조 = 154
7. 俗의 공간에서 聖의 공간으로 = 156
8. 그레마스의 행위자 모델로 본 처용설화 = 159
9. 우주론적 언술의 모델 = 167
고려 〈처용가〉의 무가적 검토 / 서대석 = 173
1. 서론 = 173
2. 처용가의 무가적 성격 = 175
3. 맺음말 = 185
〈처용가〉의 성격 / 최재남 = 187
1. = 187
2. = 189
3. = 192
신라하대사회와 〈처용가〉의 성격 / 김정희 = 195
1. 序論 = 195
2. 處容說話의 形成基盤 = 201
3. 『三國遺事』〈處容郞 望海寺〉條의 構造와 意味 = 211
4. 〈處容歌〉의 性格 = 240
5. 結論 = 257
처용가의 화쟁기호학적 연구 / 이도흠 = 261
1. 머리말 = 261
2. 노래의 어석 = 264
3. 處容郞 望海寺 조의 증층구조 분석 = 269
4. 처용가와 관련 서사의 결합 분석 = 301
5. 맺음말 = 310
〈처용가〉와 관련설화의 생성기반과 의미 / 김학성 = 313
1. 머리말 = 313
2. 처용의 정체와 무속적 이해의 문제점 = 315
3. 〈처용설화〉의 생성기반과 의미 = 324
4. 〈처용가〉의 감동과 의미 = 337
5. 맺는말 = 348
고려 처용가의 해석 / 최철 = 351
1. 머리말 = 351
2. 문헌의 검토 = 352
3. 노랫말의 해석과 짜임 = 354
4. 맺는말 = 371
문학에서 해석의 객관성 문제 / 최혜실 = 373
1. 서 = 373
2. ''처용가''의 독자들과 해석의 양상들 = 376
3. 결 : 다양한 해석의 의미 = 388
''처용''과 주체의식 형성의 한 모델 / 신은경 = 393
1. 處容歌, 處容說話, 處容이야기, 處容모티프 = 393
2. ''處容이야기''와 ''주체'' 형성 양상 = 395
3. ''처용모티프''의 현대적 변주 = 413
4. 맺음말 = 433
「처용가」의 변모 양상 연구 / 이혜진 = 435
1. 序論 = 435
2. 「處容歌」의 變貌 樣相 = 442
3. 「處容歌」에 나타난 呪詞의 變貌 樣相 = 485
4. 結論 = 507
처용랑 망해사 / 홍기삼 = 511
1. 서론 = 511
2. 설화 분석의 방법적 반성 = 514
3. 「처용랑 망해사」의 새로운 검토 = 521
4. 설화의 전체적 구조 = 529
5. 결론 = 539
고려 〈처용가〉의 〈처용랑 망해사〉조 재해석과 벽사진경의 원리 / 정운채 = 543
1. 서론 = 543
2. 〈처용랑 망해사〉조와 벽사진경 = 545
3. 고려 〈처용가〉의 〈처용랑 망해사〉조 재해석 = 552
4. 고려 〈처용가〉의 벽사진경 원리 = 560
5. 결론 = 566
처용가에 나타난 용의 상징성 / 유경환 = 571
1. 序論 = 571
2. 象徵的 意味와 機能 = 572
3. 結論 = 601
〈처용가〉의 변천과 문화사적 의미 / 윤성현 = 605
1. 들어가는 말 = 605
2. 처용의 정체와 처용문화의 본질 = 606
3. 〈처용가〉의 변이와 굴절 = 610
4. 고려 〈처용가〉의 문학적 해석 = 619
5. 맺는 말 = 622
''처용랑 망해사''조의 서사적 이해와 처용가의 기능 / 이완형 = 625
1. 서론 = 625
2. 처용랑 망해사조의 서사적 이해 = 627
3. 처용의 성격과 그 노래의 기능 = 644
4. 결론 = 649
〈처용가〉의 시적 정서와 서사물의 구조 / 이승남 = 653
1. 서론 = 653
2. 가요의 시적 정서와 그 의미 = 654
3. 가요의 시적 정서와 전체 서사 문맥 = 663
4. 가요의 시적 정서와 처용 문신전승의 문맥 = 675
5. 결론 = 683
〈처용가〉지도방안 연구 / 정지원 = 685
1. 서론 = 688
2. 구성주의의 원리와 〈처용가〉교수-학습 내용 = 697
3. 구성주의에 입각한 〈처용가〉수업 모형 = 727
4. 결론 = 777
신라 『처용가』의 서사문맥과 그 의미 / 유해춘 = 781
1. 序論 = 781
2. 敍事文脈의 分析 = 782
3. 處容歌의 意味 = 795
4. 結論 = 801
무가계 고려속요의 성격 연구 / 하태석 = 803
1. 서언 = 803
2. 무가계 고려속요의 작품별 특성과 성격 = 806
3. 무가계 고려속요의 문학사적 위상 = 821
4. 결언 = 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