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제1편 경음의 본질
1 경음의 개념과 기능 = 11
1. 경음의 개념 = 11
2. 경음의 기능 = 13
2.1 언어학적 기능 = 13
2.2 심리학적 기능 = 16
2.3 사회학적 기능 = 18
2.4 사회심리학적 기능 = 20
2 후두음층렬과 경음 = 23
1. 후두음층렬의 자립성 = 25
1.1 기음소의 자립성 = 25
1.2 경음소의 자립성 = 38
2. 음성상징과 후두음층렬의 기능 = 48
3. 후두음층렬의 상호 출입성 = 54
4. 국어자음체계의 이원적 구조 = 56
3 음절지배제약과 경음 = 60
1. 강도 조정 현상 = 60
1.1 울림도 동화의 한계 = 60
1.2 음절구조와 자음강도 체계 = 65
1.3 강도 조정 현상 - 비음화와 경음화 = 68
2. 위치조정 현상 - 연구개음화와 순음화 = 71
3. 강도ㆍ위치조정과 지배관계 = 76
4 연속체로서의 경음 = 82
1. 음절강도제약과 후두음화의 방향성 = 83
2. 음절강도제약과 후두음화의 단계성 = 88
2.1 ''융합''과 ''대립''의 의미 = 88
2.2 융합과 음운론적 과정 = 94
2.3 대립과정과 경음화 = 97
3. 음절강도제약과 후두음화의 연속체적 특성 = 100
3.1 융합과 대립의 음절강도제약 = 100
3.2 후두음화의 연속성 = 105
5 한국어 경음의 연구 현황과 전망 = 111
1. 경음화 현상의 연구현황과 과제 = 112
1.1 단어 영역의 경음화 현상 = 112
1.2 구 이상 영역의 경음화 현상 = 119
2. 경음화의 원인 규명과 외국이론 수용에 의한 표시문제 = 123
3. 경음화 연구의 전망 = 127
제2편 경음의 생성과 발달
1 경음의 생성 ; 향가의 ''叱'' 표기 = 133
1. ''叱''의 음가 = 135
2. 성모와 운모의 관련성 = 142
3. ''叱''의 기능 = 144
3.1 어말 종성의 ''叱'' = 145
3.2 생략된 격의 흔적 ''叱'' = 169
4. 고대국어의 자음체계와 추이과정 = 185
2 경음의 발달 ; 정음 문헌의 병서 표기 = 195
1. 연구사 개관 = 195
1.1 합용병서에 관한 연구들 = 196
1.2 각자병서에 관한 연구들 = 201
2. 음운으로서의 경음 ; ''ㅅ''계 병서 = 208
2.1 어두 ''ㅅ''의 역사성 = 208
2.2 ''ㅅ''병서의 원형들 = 212
2.3 원형들의 유기성 = 225
3. 이음으로서의 경음 ; 각자병서 = 254
3.1 전탁음과 각자병서 = 254
3.2 전탁음의 음성학적 분석 = 264
3.3 어중 경음의 변별자질 = 279
4. 어두자음군으로서의 ''ㅂ''계 병서 = 285
4.1 어두 ''ㅂ''의 어원성 = 286
4.2 표면음성제약과 체계성 = 292
3 경음의 확산 = 302
1. 어두자음군의 안정화 = 302
1.1 기음화 현상 = 303
1.2 경음화 현상 = 305
2. 경음화의 완성 = 310
참고문헌 = 323
찾아보기 = 3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