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4
발문 = 6
古典梵語文法의 傳承과 認識에 대하여 / 김민수
1. 파니니문법의 言語學的 評價 = 11
2. 佛經과 파니니문법의 傳受 = 13
2.1 漢譯 佛經의 파니니문법 = 16
2.2 『八章篇』의 編成과 文法 規則 = 21
2.3 『八章篇』의 飜譯과 傳承 = 31
2.4 파니니문법의 傳播와 認識 = 35
3. 파니니문법의 言語學的 價値 = 43
고려대장경에 나타난 고전 범어 문법의 성·수·격 / 전수태
1. 범어 문법에 대하여 = 49
2. 대장경에서의 범어 문법에 대한 인식 = 52
2.1 명사와 동사 = 52
2.2 성·수·격 = 59
2.3 격변화의 예 = 63
3. PANINI 『八章篇』의 성·수·격 = 65
3.1 인칭 = 66
3.2 성 = 67
3.3 수 = 71
3.4 격 = 74
4. 대장경 『首楞嚴經』에서의 성·수·격의 실제 = 94
5. 정리와 전망 = 128
고려대장경에 나타난 고전 범어 문법 용어 / 최호철
1. 머리말 = 133
2. 고려대장경과 고전 범어 문법 = 135
2-1. 고려대장경 = 135
2-2. 고전 범어 문법 = 137
3. 고려대장경의 고전 범어 문법 기술 = 138
3-1. 남해기귀내법전(南海寄歸內法傳) = 139
3-2. 대당대자은사삼장법사전(大唐大慈恩寺三藏法師傳) = 145
3-3.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 150
3-4. 대승장엄경론(大乘莊嚴經論) = 152
3-5. 유가사지론(瑜伽師地論) = 153
3-6. 유가사지론약찬(瑜伽師地論略纂) = 157
3-7. 고려대장경의 성명론(聲明論) 체계 = 162
4. 고려대장경의 고전 범어 문법 용어 = 167
5. 맺음말 = 184
高麗大藏經에 나타난 古典梵語文法(聲明論)의 統辭에 대하여 / 이윤표
1. 聲明論과 六相 = 189
1.1 聲明論 = 189
1.2 六相 = 194
2. 法施設建立相과 義施設建立相 = 196
2.1 窺基의 『瑜伽師地論略纂』 = 196
2.2 彌勒 菩薩의 『瑜伽師地論』 = 197
2.3 法과 義에 대한 해설 = 198
3. 名身·句身·文身 = 199
3.1 성명과 명신·구신·문신 = 199
3.2 呂징의 『聲明略』 = 199
3.3 名身·句身·文身과 현대 문법 = 202
4. 구신 결구법 = 203
5. 결론 = 209
古典梵語文法이 借字 表記 體系에 미친 影響 / 이준석
1. 緖論 = 213
2. 佛敎의 思想的 背景과 古典 梵語 文法의 認識 = 221
2.1 古代 印度 思想의 영향과 佛典의 結集 = 221
2.2 梵語 佛典의 漢譯 過程과 그 영향 = 227
2.3 古典 梵語 文法의 導入과 認識 = 232
3. 漢字의 收容과 借字 表記의 成立 = 242
3.1 漢字의 收容과 借字 表記의 成立 = 243
3.2 佛經에서 處格 標識 ''中''의 分布 = 245
3.3 口訣의 字形 比較 = 249
4. 結論 = 252
高麗大藏經에 나타난 古典梵語文法의 形態論 / 최경봉
1. 佛經을 통한 파니니문법의 전래와 古代人의 國語 意識 形成 = 257
2. 漢譯 佛經에 나타난 梵語 文法의 形態論的 意識 = 261
2.1 ''聲明處'' 六相과 梵語文法 體系 = 261
2.2 聲明處 六相의 ''名身''과 單語 = 269
3. 漢譯 佛經에 나타난 梵語 文法의 造語法 = 273
3.1 어근, 어간, 접사의 개념과 파생법 = 273
3.2 梵語 文法에서의 合成法 = 281
4. 결론 = 285
부록
논평 = 291
고전범어문법 관련 한역 경전 자료 = 311
찾아보기 = 327
필자 소개 = 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