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간행사

『토지』와 일본 - 최유찬
1. ㅏㄴ국근대역사의 형상화
2. 일본론
3. 반일론
4. 생명의 세계로

안중근의 「장부가」와 그 영향 - 허경진
1. 안중근의 학문
2. 안중근의 한시와 국문시가
3. 거사 이후 『대동공보』에 실린 노래
4. 안중근을 추모한 독립군가
5. 중국에서 지은 추모시
6. 미국에서 발표된 추모시
7. 중국인의 연극
8. 안중근 시가의 문학적 평가

일제하 만주 유이민체험과 서사적 인식 - 표언복
1. 시작하는 말
2. 만주 유이민 역사
3. 만주유이민소설
4. 이념적 유이민소설
5. 도생형 유이민소설
6. '국책문학'으로의 만주유이민소설
7. 만주 유이민소설의 한계
8. 만주 유이민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9. 맺는 말

식민지시대 말기 암흑기 문학 친일파 작가에 대한 재평가 - 다무라 히데아키
1. 친일파 문학자 연구의 재평가란
2. 마키히로시<이석훈>의「조용한 폭풍」과 '반도지식인'의 고뇌
3. 작품의 파탄과 그 이유
4. 이광수의「내선일체수상록」과 '내선일체'의 이중성
5. 영화「반딧불」과 김성민의 『녹기연맹』

'북촌'과 '남촌'에서 식민지 근대 바로 읽기 - 이승이
1. 식민지 근대도시 경성과 일상
2. 문학적 기호로 '경성'보기
1) 북촌-종로, '화미한 비극'
2) 남촌-진고개, '모조된 자연'
3. '난장이가 쓴 큰 갓', 그 불균형한 포즈에 대한 이해

조망-국어에 대한 일본어의 간섭
1. 머리에
2. 일본어의 간섭 과정
1) 우리말과 일본어
2) 일본어의 간섭 약사
3) 사례 연구 - 김동인의 경우
3. 국어 속의 일본어
1) 고유 일본어
2) 훈독 한자어
3) 문법 표현
4) 일제 숙어
5) 일본식 서구어
4. 일제 한자어
1) 신문명 한자어
2) 근대 한자어의 탄생
3) 일제 한자어의 처리 문제
5. 맺으며

개화기의 언어 변화 - 규범이론을 중심으로│김남돈
1. 개화기 언어 변화에 대한 국어학사적 고찰
2. 개화기 언어 변화에 대한 종합적 재검토
1) 문체의 변화와 언문일치
2) 표기법의 변화
3) 어휘의 변화와 어휘 의미의 변화
4) 문법에 대한 규범화
3. 개화기 언어 변화의 두 요인
1) 언어 내적 요인
2) 언어 외적 요인

고종의 국문에 관한 공문식 칙령 반포의 국어사적 의미 - 김승옹
1. 머리말
2. 칙령의 실체와 정치적 상활
3. 칙령의 국어사적 의미
1) '國文'의 의미
2) 국한문 혼용문의 의미
4. 마무리
[붙임 자료]이노우에 회고록 전문

근현대 교과서 정책과 국어과 교과서 - 근대계몽기에서 건국기까지│허재영
1. 머리말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과 대상
3) 앞선 연구
2. 근대계몽기의 교과서 정책
1) 근대계몽기 교과서 정책
2) 근대계몽기의 국어 관련 교과서
3. 일제강점기의 교과서 정책
1) 조선총독부의 교솨서 정책
2) 교과서 개발
3) 교과서 검인정
4) 일반 가정용 서류 개발 보급
4. 건국기의 교과서 정책
1) 건국기의 교과서 정책 변천
2) 건국기의 국어과 교과서
5. 맺음말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나타난 상징적 요소와 그 의미 - 박현수
1. 난해함과 호응의 아이러니,『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2. 치히로의 모험, 그 낯섦과 낯익음
3. 상징 체계와 그 의미
4. 한국, 일본, 그리고 미야자키 하야오

동아시아에서 한류 소비에 나타난 '아시아 노스탤지어'
1. 초국적 문화소비와 욕망의 지역적 버전들
2. '겨울 연가를 통해 '발견'된 아시아, 한국
3. '대장금'을 통해 발견된 중화문명
4. 아시아에 대한 노트탤지어

|인터넷 교보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