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 머리말

제1편 고대국어 표기 한자음
제1장 신라 지명에 반영된 신라한자음 = 13
1. 머리말 = 13
2. 신라한자음의 형성 = 14
3. 신라 왕호 및 인명에 쓰인 한자음 = 24
3.1 박혁거세 거서간 = 24
3.2 남해 차차웅 = 40
3.3 유리 니사금 = 45
3.4 탈해 니사금 = 51
3.5 파사 니사금 = 56
3.6 지마 니사금 = 62
3.7 벌휴 니사금 = 64
3.8 조분 니사금 = 67
3.9 첨해 니사금 = 73
3.10 미추 니사금 = 75
3.11 유례 니사금 = 80
3.12. 기림 니사금 = 82
3.13. 흘해 니사금 = 84
3.14 나물 니사금 = 85
3.15 눌지 마립간 = 88
3.16 소지 마립간 = 90
3.17 지증 마립간 = 93
3.18 법흥왕 = 101
3.19 진흥왕 = 105
3.20 진지왕 = 106
3.21 진평왕 = 111
3.22 진덕왕 = 112
3.23 문무왕 = 114
3.24 효소왕 = 116
3.25 선덕왕 = 119
3.26 원성왕 = 121
3.27 소성왕 = 122
3.28 흥덕왕 = 125
3.29 희강왕 = 127
3.30 민애왕 = 130
3.31 헌안왕 = 131
3.32 경문왕 = 133
3.33 신덕왕 = 137
4. 상고음 기층의 신라한자음 = 140
4.1 성모의 반영 = 141
4.2 운부의 반영 = 146
5. 남방 방언 기층의 신라한자음 = 153
6. 중고음 기층의 신라한자음 = 154
7. 맺음말 = 156

제2장 신라 지명에 반영된 신라한자음 = 167
1. 신라 지명 표기 한자음 = 167
2. 맺음말 = 212

제3장 고대국어 자료 「叱」의 소릿값과 기능 = 217
1. 머리말 = 217
2. 「叱」의 소릿값 = 223
3. 「叱」의 기능 = 228
3.1 「ㅅ」표기의 「叱」 = 228
3.2 「ㆆ」표기의 「叱」 = 244
4. 맺음말 = 258

제4장 고대국어 표기 자료「支」의 소릿값 = 263
1. 머리말 = 263
2. 고구려한자음의 형성 과정 = 266
3. 백제한자음의 형성 과정 = 267
4. 신라한자음의 형성 과정 = 270
5. 세 나라 지명 표기에 쓰인 「支」의 소릿값 추정 = 271
6. 신라향가에 쓰인 「支」의 소릿값 추정 = 279
6.1 「ki」로 쓰인 용례 = 279
6.2 「hi」로 쓰인 용례 = 283
6.3 「ci」로 쓰인 용례 = 300
7. 맺음말 = 303

제5장 고대국어 표기 자료「只」의 소릿값 = 307
1. 머리말 = 307
2. 백제한자음의 형성 과정 = 309
2.1 백제계 지명에 반영된 「只」의 소릿값 = 309
3. 신라한자음의 형성 과정 = 314
3.1 신라 인명 및 왕호에 반영된 「只」의 소릿값 = 314
3.2 신라계 지명에 반영된 「只」의 소릿값 = 317
3.3 신라향가에 반영된「只」의 소릿값 = 318
3.4 고려향가에 반영된 「只」의 소릿값 = 321
4. 중세국어 자료에 반영된 「只」의 소릿값 = 330
4.1 향약명 표기에 반영된「只」의 소릿값 = 330
4.2 고려 이두에 나타난「只」의 소릿값 = 336
4.3 석독 구결 자료에 나타난 「八(只)」의 소릿값 = 337
4.4 조선조 이두 자료에 반영된 「只」의 소릿값 = 340
5. 「只」의 소릿값 형성 원인 = 341
6. 맺음말 = 346

제6장 고대국어 표기 자료 「尸」의 소릿값 = 351
1. 머리말 = 351
2. 「尸」의 소릿값 = 352
2.1 상고음 기층 「尸」의 소릿값 = 352
2.2 남방 방언 기층 「尸」의 소릿값 = 358
2.3 중고음 기층 「尸」의 소릿값 = 359
3. 「尸」의 용례 = 361
3.1 「-ㄹ」의 용례 = 361
3.2 「ㅅ-」의 용례 = 367
4. 맺음말 = 368


제2편 우리말의 형태
제7장 국어 이름법의 통시적 고찰 = 373
1. 머리말 = 373
2. 고대국어의 이름법 = 376
2.1 「-ㅁ」이름법 = 376
2.2 「-기」이름법 = 377
2.3 「-ㄹ」이름법 = 378
2.4 「-ㄴ」이름법 = 379
3. 15세기 국어의 이름법 = 380
3.1 「-ㅁ」이름법 = 381
3.2 「-기」이름법 = 385
3.3 「-ㄹ」이름법 = 388
3.4 「-ㄴ」이름법 = 389
3.5 「-디」이름법 = 390
4. 16세기 국어의 이름법 = 392
4.1 「-ㅁ」이름법 = 393
4.2 「-기」이름법 = 395
4.3 「-디」이름법 = 397
5. 17세기 국어의 이름법 = 397
5.1 「-ㅁ」이름법 = 399
5.2 「-기」이름법 = 401
6. 맺음말 = 404

제8장 선어말어미 「-오/우-」의 통어 기능 = 409
1. 머리말 = 409
2. 신라향가의 자료 = 411
2.1 「-오/우-」가 쓰인 경우 = 411
2.2 「-오/우-」가 쓰이지 않은 경우 = 431
3. 고려향가의 자료 = 444
3.1 「-오/우-」가 쓰인 경우 = 444
3.2 「-오/우-」가 쓰이지 않은 경우 = 448
4. 맺음말 = 450

제9장 선어말 어미 「-삷-」의 통어적 기능 = 453
1. 머리말 = 453
2. 선어말 어미 「-白-」 = 454
3. 신라향가의 「-삷-」 = 455
4. 고려향가의 「-삷-」 = 462
5. 맺음말 = 469

제10장 ''사잇소리''에 대하여 = 473
1. 머리말 = 473
2. 고대국어의 사잇소리 = 475
2.1 「叱」자의 소릿값 = 476
2.2 「ㆆ」표기 「叱」자의 기능 = 479
3. 중세국어의 사잇소리 = 481
4. 중세국어 음절끝소리 「-ㅅ」의 소릿값 = 486
4.1 음절끝소리 「-ㅅ」의 소릿값이 /s/로 추정되는 자료 = 487
4.2 음절긑소리 「-ㅅ」의 소릿값이 /t/로 추정되는 자료 = 491
5. 현대국어의 사잇소리 = 496
6. 맺음말 = 498

제11장 ''△''[z] 생성 시기 고찰 = 501
1. 머리말 = 501
2. ''△''의 소릿값 = 502
3. 향약구급방의 표기에 나타난 ''△'' = 502
4. 계림유사의 표기에 나타난 ''△'' = 510
5. 향가 및 지명 표기의 ''△'' 존재 여부의 고찰 = 515
6. 맺음말 = 521

찾아보기 = 5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