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릿말 = 1
일러두기 = 8
첫째 훈민정음의 표기법 = 11
[첫째] 훈민정음의 글자 맞춤법 규정 = 11
[둘째] 훈민정음의 정서법 규정 = 13
{첫째} 훈민정음의 정서법 원리와 글자 체계 = 13
{둘째} 우리말 적음의 정서법 규정 = 15
(첫째) 어중 쌍초성과 섞임 겹초성 적기 = 15
(둘째) 이름씨의 사이소리 적기 = 19
(셋째) 치음 및 유기음 종성 적기 = 21
(넷째) 긴소리 종성 적기 = 26
(다섯째) 겹종성 적기 = 36
(여섯째) 소리 높임 적기 = 38
(일곱째) 소리 덩이 적기 = 40
[셋째] 한자음 적기 = 46
[넷째] 소리대로 적기의 원칙 = 47
둘째 우리말의 음운 = 52
[첫째] 음가 = 52
{첫째} 초성의 음가 = 52
(첫째) 한글 음가의 뜻과 음가 해명의 방법 = 52
(둘째) 초성과 「ㅇ」의 음가 = 55
(셋째) 홑글자 초성과 없어진 글자의 음가 = 63
一. 우리말의 홑글자 초성과 그 소리의 갈래 = 63
(一) 글자 초성의 갈래 = 63
(二) 「ㅅ」초성과 「ス」초성의 음가 = 66
二. 없어진 홑글자 초성과 그 음가 = 77
(一)「ㆁ」의 없어짐과 그 음가 = 77
(二)「ㅿ」의 없어짐과 그 음가 = 78
(넷째) 겹글자 홑초성과 그 음가 = 93
一. 연서 ㅸ와 없어짐 = 93
二. ㅸ의 음가 = 95
(다섯째) 겹글자 겹소리 초성과 그 음가 = 99
一. 겹글자 겹소리 초성의 갈래와 겹글자의 변화 = 99
(一) 겹글자 겹초성의 갈래 = 99
(二) 쌍초성의 변화 = 100
(三) 섞임 겹초성의 변화 = 101
二. 병서의 글자 소리와 그 해명의 문제점 = 103
(一) 겹글자 초성의 글자와 소리 = 103
(二) 우리말의 음절 짜임과 병서음가 해명의 문제점 = 107
(三) 쌍초성 = 110
(1) 쌍초성의 글자 짜임과 분포 = 110
(2) 어중 쌍초성 이루어짐의 분석 = 114
(3) 성문음과 결합된 소리의 쌍초성에로의 변화 = 121
(4) 마찰음과 마찰음이 이어서 이루어진 쌍초성 = 130
(5) 파찰음과 결합하여 이루어진 쌍초성 = 130
(6) 성문음의 쌍초성 = 133
(7) 어두 쌍초성 = 138
(8) 쌍초성의 음가표 = 140
(四) 섞임 겹초성 = 144
(1) 섞임 겹초성의 소리 짜임과 그 종류 = 144
(2) 어중 섞임 겹초성의 이루어짐 = 150
(3) 「ㅅ」와 「ㅂ」의 특수한 성격 = 152
(4) 섞임 겹초성 「ㅅ」와 「ㅂ」의 음가 고증 = 156
(5) 섞임 겹초성의 음가 정리 = 156
(6) 섞임 겹초성의 한자 빌어 적기 = 170
{둘째} 종성의 음가 = 189
(첫째) 종성의 뜻과 「ㆁ」종성의 음가 = 189
一. 종성의 뜻 = 189
二. 「ㆁ」종성의 음가 = 190
(둘째) 홑종성의 음가 = 195
一. 「ㆆ」종성의 음가 = 195
二. 「ㅅ」중성의 음가 = 196
三. 「ㄹ」종성의 음가 = 199
(셋째) 겹종성의 음가 = 201
一. 홑글자 겹종성의 음가 = 201
(一) 「ㅈ」 종성 = 201
(二) 유기음 종성 = 202
(1) 유기음 종성의 음가 = 202
(2) 유기음 종성의 내파화와 내파음 = 203
二. 겹글자 겹종성 = 214
(넷째) 긴 종성 = 217
(다섯째) 종성의 변화 = 224
{셋째} 중성의 음가 = 227
(첫째) 중성의 뜻과 중성의 갈래 = 227
一. 중성의 뜻 = 227
二. 중성의 갈래 = 228
(둘째) 홑글자 중성의 음가 = 230
一. 홑글자 홑중성의 음가와 「·」음가 = 230
二. 홑글자 겹중성의 음가 = 240
(셋째) 겹글자 중성의 음가 = 241
一. 겹글자의 소리 = 241
二. 겹글자 중성의 결합분포 = 245
三. 뒤 선 「ㅣ」의 음성적 음가 = 246
四. 앞 선 「ㅗ」와 「ㅜ」의 음성적 음가와 결합제약 = 250
五. 「ㅚ」와 「ㅟ」의 음성상의 두 소리 = 254
(一) 「ㅚ」[yi] 「ㅟ」[wi] 소리의 확인 = 254
(ニ) 「ㅚ」[oj]「ㅟ」[uj] 소리의 확인 = 256
六. 밝은 소리와 어두운 소리의 음가 = 257
{넷째} 사성의 음가 = 261
{다섯째} 방언의 특수한 소리 = 267
(첫째) 반설경음 = 267
(둘째) ·와 ㅡ가 ㅣ에서 일어난 소리 = 268
[둘째] 옛말의 음소체계 = 270
{첫째} 음소의 구조의식과 체계 = 270
(첫째) 글자와 음소 = 270
(둘째) 구조의식과 체계 = 271
{둘째} 초성체계 = 272
(첫째) 어두 초성 체계 = 272
(둘째) 어중 초성 체계 = 274
{셋째} 종성체계 = 276
(첫째) 정서법의 종성과 홑글자 종성의 구조 = 276
(둘째) 겹종성의 상관 구조 = 277
{넷째} 종성 체계 = 279
(첫째) 홑중성 체계와 모음조화의 대립구조 = 279
(둘째) 중성의 상관구조 = 281
셋째 한자음 표기 글자의 음가 = 283
[첫째] 한자음 표기글자의 성격과 한자음 표기만을 위한 글자 = 283
{첫째} 한자음 표기글자의 성격 = 283
{둘째} 한자음 표기만을 위한 글자 = 285
[둘째] 한자음 표기에만 쓰는 초성의 음가 = 286
{첫째} 중국말 소리의 초성과 우리 한자의 초성 = 286
{둘째} 한자음 표기에만 쓰인 글자의 음가 = 289
(첫째) 한자음 표기에 쓰인「ㄲ ㄸ ㅃ ㅉ ㅆ ㆅ」초성의 음가 = 289
(둘째) 한자음 표기에 쓰인「ㅸㆄㅹㅱ」초성의 음가 = 293
(셋째) 한자음 표기에 쓰인「ㆁ」와 「ㆆ」초성의 음가 = 295
(넷째) 한자음 표기에 쓰인「ㅿ」초성의 음가 = 296
(다섯째) 한자음 표기에 쓰인「ㄹ」초성의 음가 = 297
(여섯째) 한자음 표기에 쓰인 치두음과 정치음 글자의 음가 = 297
[셋째] 한자음 표기에만 쓰는 중성의 음가 = 298
{첫째} 한자음 중성과 우리말 중성 = 298
{둘째} 한자음 표기에 쓰인「ㆇㆊㆈㆋ」중성의 음가와 국어적 제약 = 304
[넷째] 한자음 표기에만 쓰는 종성의 음가 = 306
{첫째} 한자음 표기에 쓰인「ㆁㅿㅱㅸ」종성과 한음중성 = 306
{둘째} 한자음 표기에 쓰인「ㆁ」종성의 음가 = 307
{셋째} 한자음 표기에 쓰인「ㅿ」종성의 음가 = 310
{넷째} 한자음 표기에 쓰인「ㅱ」와「ㅸ」종성의 음가 = 312
{다섯째} 한자음 표기에 쓰인「ㆁㅿㅱㅸ」종성 음가의 초성과의 비교 = 313
[다섯째] 한자음의 사성 = 314
{첫째} 한자음의 사성점과 사성체계 = 314
{둘째} 한자음의 사성음가 = 315
[찾아보기] = 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