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근대문학 연구의 쟁점들
조선 후기, 개화기 시가 연구의 쟁점과 과제 박애경
1. 들어가며-논의의 전제
2. 조선 후기, 개화기 시가 연구의 시기 별 현황
3. 조선 후기, 개화기 시가 연구의 쟁점
4. 나가며-조선 후기, 개화기 시가 연구의 향후 과제
일본 근대문학사 연구의 성과와 과제 후지이 히데타다
일본 근대소설 탄생의 세 가지 경로 후지이 히데타다
1. 들어가며
2. 신문기사 발전형
3. 고전문학 계승형
4. 외국(구미)문학에 바탕을 둔 형
5. 나가며
장르의 생성을 묻다 신보 쿠니히로
근대 단편소설의 경우
이광수의 일본어 창작과 일본문단 하타노 세쓰코
유학 후의 일본 체류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1924년의 일본 여행
3. 1932년의 일본 여행
4. 1935∼1936년의 장기 체류
5. 1942년의 제1회 대동아문학자대회
6. 1943년의 마지막 일본 방문
7. 나가며
모노가타리의 복권 우에다 마사유키
쿄카·소세키를 시야에 넣어
1. 들어가며
2. <소설신수(小說神髓)>의 주장
3. 모노가타리(로망)의 가능성
<매일신보> 소재 장형 서사물의 전개 구도 김영민
192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1910년대 <매일신보> 소재 장형 서사물의 전개 구도
3. 1920년대 이후 <매일신보> 소재 장형 서사물의 전개 구도
4. 나가며
명작문학과 국민문학 후지이 히데타다
고도 성장기의 독서 상황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와 ‘국민독서의 해’ 후지이 히데타다
제2부 근대국어 연구의 쟁점들
근대 한국어 연구의 성과와 과제 고영진
‘근대국어’의 기점 문제와 관련하여
1. 들어가며
2. 한국어의 근대는 언제부터인가?
3. 한국어의 근대와 ‘국어 만들기’
4. 나가며
근대 한자어의 개념과 의미 문제 고석주
교과서에 나타난 ‘국민(國民)’·‘인민(人民)’·‘시민(市民)’을 중심으로
1. ‘개념’과 ‘의미’의 의미
2. {개념}과 단어의 관계
3. 교과서에 나타난 근대 한자어의 개념
4. 나가며
언어정책의 관점에서 바라본 언문일치 이연숙
1. 들어가며-근대라는 시대의 양면성
2. 전근대에서 근대로―네이션의 성립
3. 언어와 네이션-다이글로시아(diglossia)에서 국민언어로
4. 언문일치와 언어정책
5. 나가며
식민지기 조선에서의 한글운동의 전개와 그 성격 미쓰이 다카시
연구 동향과 그 비판적 검토
1. 들어가며
2. 식민지기 조선에서의 한글운동과 조선어교육정책
3. 한글운동사에 관한 최근 연구 동향과 그 비판적 검토
4. 나가며
<만세보>와 부속국문체 연구 김영민
1. 들어가며
2. <만세보>의 서지 및 그 성격
3. <만세보>의 부속국문체 연구
4. 나가며-부속국문체 사용의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