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1부 개인

1_몸에 대한 시선의 역사
2_유리거울, 외모 지상주의 시대의 서막을 열다
3_한국 남성의 새로운 통과의례, 포경수술
4_기생충 박멸운동의 역사
5_가문에서 개인으로, 이름 석 자에 담긴 역사성과 사회성
6_태초에 도장이 있었다

2부 가족과 의식주

1_낯설어라 사랑, 낯뜨거워라 연애
2_현모양처론, 메이지 시대의 이데올로기
3_서자와 양자의 분쟁사
4_장보기, 남자들의 바깥일에서 여자들의 집안일로
5_가족을 ‘관객’으로 만든 TV
6_‘쌀밥에 고깃국’, 천년의 소원
7_담배 냄새가 ‘향香’이던 시절
8_가짜 양주에서 폭탄주까지
9_목숨과 바꾼 온기, 연탄
10_과거사가 된 ‘셋방살이 설움’
11_375칸짜리 ‘장안 제일가’와 옥인동 아방궁

3부 직업과 경제생활

1_천직? 평생직장? 그 아련한 추억
2_‘정경유착’과 ‘가족 같은 회사’의 민낯
3_위세의 상징, 가마에서 인력거로
4_몸 고생에 마음 고생
5_침모, 식모, 파출부, 가사도우미
6_‘구멍가게’에서 슈퍼마켓으로
7_외식시대를 개척한 음식, 탕수육과 짜장면
8_‘소 보험’에서 ‘암 보험’까지, 시대의 불안감
9_망한 나라의 99칸 대가大家, 여관이 되다

4부 공간과 정치

1_서울을 바꾼 ‘황제어극 40년 망육순 칭경 기념예식’
2_한양도성, 유물이 된 서울사람의 정체성
3_일제가 독립문을 보존한 이유
4_무방비 도시, 서울
5_영생불사의 동상으로 거듭난 위인들
6_교통신호기, 인간을 지휘하는 기계의 출현
7_불신받는 국가의 얼굴, 경찰
8_참언과 예언에 혹하다

5부 가치관과 문화

1_해방 직후 대입시험의 ‘국어 소동’
2_식민지 백성의 덕목, 온순과 착실·박력과 추진력
3_빼앗긴 문화재, 갖다 바친 문화재
4_번역을 포기한 단어, ‘가방’과 ‘구두’
5_한국의 역제, 음?양력의 공존 이유
6_광고와 기사의 ‘동거’가 끼친 영향
7_명월관 기생과 ‘접대문화’
8_외설의 상징, 복숭아
9_‘묵은 빚’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