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제1부 한국어문 표준화의 내력을 밝히며
1. 들어가면서 = 2
2. 1910년대 중반-1920년대의 전반의 표준화 운동 = 5
2.1. 주시경 이후의 표준화운동과 이에 대한 도전 세력 = 5
2.2. 조선어연구회의 창립과 주시경후계들의 표준화 운동 = 18
2.2.1. 김두봉의 표준화 연구 = 19
2.2.2. 최현배, 이윤재, 양명의 표준화 연구 = 28
2.2.3. 권덕규, 이필수, 이상춘 등의 표준화 연구 = 31
2.2.4. 국제공통어에 대한 관심 = 36
3. 1920년대 후반의 표준화 운동 = 38
3.1. 가갸날/한글날의 제정을 전후한 표준화를 위한 토론 전개 = 38
3.2. 표준화를 위한 기초적 연구의 성황 = 51
3.3. 언문철자법의 개정 = 59
4. 1930년대 전반의 표준화 운동 = 69
4.1. 개정언문철자법의 보급 = 69
4.2. 표준화를 위한 기초연구와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제정 = 77
4.3. 한글맞춤법 통일안 이후의 표준화에 관련된 문제 = 102
5. 반도 밖의 표준화 운동 = 105
5.1. 러시아 한인들의 표준화 운동 = 105
5.2. (고려문전)의 표준화 내용 = 109
5.3. 고려어 규범의 보급과 이에 따르는 문제 = 125
6. 마무리를 지으며 = 132
참고문헌 = 138
제2부 어문학자들의 발자취를 뒤좇으며
1. 이윤재의 어문 표준화 연구 = 142
1. 들어가면서 = 142
2. 이윤재의 어문학적 업적 = 143
3. 이윤재의 어문관의 형성배경 = 153
[붙임] 이윤재 관계자료 = 156
2. 이윤재의 사상체계 = 161
1. 들어가면서 = 161
2. 환산과 서당시절, 신교육 = 162
3. 환산과 한힌샘, 단재 = 164
4. 환산과 도산 = 169
5. 환산의 역사의식 = 174
6. 북경 유학시절의 환산의 활동 = 179
7. 마무리를 지으며 = 188
참고문헌 = 193
[붙임] 이윤재의 걸어온 길 = 195
3. 장지영의 문법연구와 어문관의 특수성 = 208
1. 들어가면서 = 208
2. 열운의 (조선어전)류와 문법적 사고의 특이성 = 209
3. 열운의 철자법 이론과 어문관의 특수성 = 225
4. 마무리를 지으며 = 234
참고문헌 = 236
4. 김윤경의 어문관과 문법연구 = 237
1. 들어가면서 = 237
2. 유인본 (조선말과 글)과 (조선말본) = 238
2.1. 유인본 (조선말과 글) = 238
2.2. 조선말본 = 246
3. (나라말본) (고급용)의 내용상의 특수성 = 250
4. 마무리를 지으며 = 255
[붙임] 김윤경 관계자료 = 257
참고문헌 = 257
5. 게일(J.S.Gale)의 한국어문연구 = 258
1. 들어가면서 = 258
2. 문법연구 = 260
3. 사전편찬 = 265
4. 문자 연구 = 269
5. 마무리를 지으며 = 271
[붙임] 게일의 한국어문관계자료 = 273
참고문헌 = 274
제3부 지볼트의 한국기록을 뒤적이며
1. 들어가면서 = 278
2. 지볼트의 한국기록 분석 = 282
1. [日本]의 발생사항 = ○
2. [日本] 가운데 나타나는 한국관계 기술과 자료 = 285
A. 기술편 = 285
[붙임] 서기 200년의 일본의 신라원정설 = 310
B. 자료편 = 311
C. 도록 = 324
3. 지볼트의 한국기록에 대한 평가 = 328
4. 마무리를 지으며 = 332
[도록] = 335
참고문헌 = 341
붙임말 = 343
색인 = 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