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 목적
1.3. 연구 방법
1.4. 용어 설명
2. ≪老乞大≫, ≪朴通事≫ 속의 한어 특징
2.1. 漢兒言語의 형성 배경
2.2. ≪老乞大≫, ≪朴通事≫의 서지 사항
2.3. 선행 연구
2.4. 한어사의 시대 구분
2.5. ≪老乞大≫, ≪朴通事≫ 연구의 가치
3. 동사보어구조의 형성과 유형
3.1. 동사보어구조 연구 현황
3.2. 동사보어 구조의 탄생 시기
3.3. 동사보어구조의 탄생의 원인
3.4. 근대한어의 보어 유형 분류
4. V1V2 보어 구조
4.1. V₁V₂보어 구조의 분류
4.2. 결과를 나타내는 V₁V₂
4.3. 상태를 나타내는 V1V2
4.4. 정도를 나타내는 VA
4.5. V₁V₂보어의 형식적, 의미적 특징
4.6. 소결
5. 방향보어
5.1. 방향보어의 선행 연구와 분류
5.2. 방향을 나타나는 방향보어
5.3. 결과를 나타내는 방향보어
5.4. 상태를 나타내는 방향보어
5.5. V將+方向補語
5.6. 소결
6. “V得(O)” 구조
6.1. 분류 문제
6.2. 결과를 나타내는 “V得(O)”
6.3. 상태를 나타내는 “V得(O)”
6.4. 가능을 나타내는 “V得(O)”
6.5. 소결
7. “V得C” 보어 구조
7.1. “V得C” 보어 구조의 분류
7.2. 결과를 나타내는 “V得C”
7.3. 정도를 나타내는 “V得C”
7.4. 가능을 나타내는 “V得C”
7.5. 소결
8. “的”자 보어와 수량보어
8.1. “V的(O)” 구조
8.2. “V的C”구조
8.3. 수량보어
8.4. 소결
9. 결론


참고 문헌
국문 초록
中文摘要
English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