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소박하고 자연스러운 조선시대 그림 >>

- 나귀를 끄는 아이가 있는 그림 : 동자견려도
- 꽃과 새와 강아지가 있는 그림 : 화조구자도
- 금강산의 큰 경치를 그린 그림 : 금강전도
- 비 갠 뒤의 인왕산을 그린 그림 : 인왕제색도
- 소나무 아래, 사나운 호랑이가 있는 그림 : 송하맹호도
- 임금님의 수원 행차를 그린 여덟 폭 병풍 그림 : 수원능행도팔곡병
- 집으로 돌아오는 길의 경치를 그린 그림 : 귀로산수도
- 추사 김정희의 글씨
- 아주 아주 오래 산다는 열 가지 사물을 그린 열 폭 병풍 그림 : 십장생도 십곡병
- 호랑이와 까치를 그린 그림 : 호작도


<< 우리의 아름다운 도자기와 고예품 >>

- 진사로 연꽃 무늬를 그려 넣은 표주박 모양의 청자 주전자 : 청사 진사 연화문 표형 주전자
- 두 마리의 사자 모양을 한 청자 베개 : 청사 쌍사자형 두침
- 거북용 모양을 한 청자 향로 : 청자 구룡형 삼족향로
- 상감기법으로 어룡을 새겨 넣은 분청사기 꽃병 : 분청사기 상감 어문룡 매병
- 달항아리 : 백자호
- 여러마리 물고기를 그려 넣은 청화백자 항아리 : 청화백자 군어문 호
- 구름과 용을 그려 넣은 백자 단지 : 백자철화 운룡문 호
- 반가부좌를 틀고 생각에 잠겨 있는 부처님 상 : 금동 미륵반가상
- 용머리 모양의 깃대 : 용두보당
- 구슬이 든 청동방울 : 청동 팔주령
- 가야의 금관과 장신구
- 청동으로 만든 용머리 모양의 건물 장식 : 금동 용두토수
- 통일신라의 장식 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