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펴내며 - 민족음악론 모색의 출발점

제1장 친일음악 연구현황과 과제
1. 왜 ‘친일음악’이 문제인가?
2. 기존연구의 성과와 과제

제2장 일제강점과 조선총독부의 음악통제정책
1. 음악사회의 통제와 친일 음악가 육성
2. 일본 음악교육의 강제화
3. 한국전통음악의 약체화와 항일음악의 등장

제3장 일제강점기 음악인들의 친일논리와 성격
1. 음악가들의 친일 전향
2. 음악학자들의 친일논리

제4장 친일음악단체의 활동과 참여음악인들
1. 친일음악 단체의 등장배경
2. 주요 친일음악단체의 활동

제5장 1930년대 대중음악계와 친일음반
1. 왜 일제하 대중음악계가 문제인가?
2. 1930년대 엔카류 대중가요의 역사적 조건
3. 1930년대 친일음반 현황과 가사 내용
4. 새로운 탄생을 위하여

제6장 만주국의 음악정책과 한국 음악가의 활동
1. 만주음악 연구현황
2. 만주국의 음악정책
3. 만주국 악단의 조직과 전개
4. ‘왕도낙토’를 꿈꾼 조선 음악인들

제7장 우리 안의 일본 노래
1. ‘무엇’이 ‘왜’ 일본노래인가?
2. 일본동요의 양식과 요소
3. 일본의 음향적 재료의 특징
4. 일본노래, 그 회한과 전망

제8장 닫으며: 무엇을 청산해야 하는가?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