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디자인의 전환, 전환의 디자인

디자인과 문화의 전환
국가와 디자인 관심
1970 새마을 모던: 한국 현대 디자인의 기원
문명에서 문명으로: 한국 건축 문화에 대한 단상
유위의 디자인, 무위의 디자인: 디자인과 문화의 변증법
공예의 여성성과 여성 공예의 방향

디자인 윤리와 교육의 전환
디자이너는 유죄다: 폴리자이너와 ‘협력‘의 문제
디자이너, 협력, 책임 윤리
한국 디자인 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사회의 변화와 문화의 전환
국가와 국기와 나: 태극기의 신화를 넘어서
소녀상과 미술 담론: ‘소녀상의 예술학‘ 토론회를 통해 본 한국 진보 미술계의 인식
여행과 예술: 주체의 테크놀로지
산업 사회 이후의 미학: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의 이분법을 넘어서

예술과 창작의 전환
예술 ‘이후’의 공예: 공예 담론의 모험과 모색
민화, 우리 안의 니그로를 찾아서: 종족적 인정투쟁의 장으로서의 미술
우리 공화국을 위한 어떤 역사화: 조습의 ''네이션'' 시리즈
적폐를 찾아서 - 샤머니즘 팝의 탄생: 김홍식의 ''벌기.위한.기도.''전
공예를 묻는 것과 예술을 하는 것: 오세린의 ‘경계를 넘어서‘는 작업
방법으로서의 모던, 목적으로서의 동아시아: 안상수의 조형과 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