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발간사 = 4

제1장 총론(안대회 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
성균관과 반촌의 위상 = 10
18세기의 성균관과 반촌 = 11
성균관의 종합적이고 다양한 접근 = 13

제2장 성균관의 공간과 조영(김세호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성균관의 공간과 조영 = 18
조선 전기 성균관의 건립 = 19
성균관의 완성과 소실 = 23
조선 중기 성균관의 복원 = 28
조선 후기 성균관의 융성 = 31
대성전의 편액과 계성사의 건립 = 36
유생들의 공부와 시험 = 40
풍류와 휴식의 공간 벽송정 = 45
유학생활의 향수를 달랜 망향대 = 50
도성 최고의 유상지 송동 = 54
송동의 명물들 = 58
한적한 마을 흥덕동 = 62
동반촌의 사현사 = 66

제3장 성균관과 성균관 유생들(박현순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HK교수)
성균관의 이상과 현실 속의 성균관 유생 = 72
성균관의 입학 자격과 출석제도 = 74
성균관 교육의 양대 축을 이루는 강경과 제술 = 77
성균관 유생의 활동과 조직화 = 82
17세기 성균관의 위기 = 85
원점과와 도기과의 도입 = 89
성균관으로 모이는 유생들 = 93
강경과 제술을 둘러싼 이상과 현실 = 98
조선의 실재 상재생 = 102
강경의 달인 하재생 = 107
시험이 넘쳐나는 성균관 = 111
성균관 유생의 하루 = 115
상소를 올리지 않는 성균관 유생 = 121

제4장 성균관과 의례(정재훈 경북대 사학과 교수)
국가의례와 성균과의례(문묘의례) = 128
석전시학례와 왕세자석전례 = 132
왕세자입학례 = 148
삭망전: 연향레. 분향례 = 164
고유제: 이안제. 환안제. 위안제. 예성제 = 168
대사례 = 171
양로례 = 176
벽송연 = 177

제5장 반촌과 반인(안대회 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
반촌과 반인 = 180
한양의 특수구역 반촌 = 182
반인의 성격과 집단거주 = 195
반인의 성균관 업무 = 210
반주인의 세계 = 218
반촌은 지방 출신 유생과 관료의 서울 거점 = 229
반촌의 문화적 분위기와 반촌의 문학 = 236
반촌을 빛낸 명사 = 253
근대 이후의 반촌과 반인 = 262

제6장 반민의 경제생활과 현방(조영준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성균관 지킴이: 반민의 역할 = 268
성균관 유생의 베이스캠프: 반주인과 하숙 = 274
반민의 대표적 특권: 현방 운영 = 279
현방 분포의 장기적 추이 = 284
현방의 도축 실태 = 287
소고기는 성균관 유생의 별미? = 291
현방에게 부과된 의무 = 292
반민의 세력 확장: 도성 안팎에서의 이권 다툼 = 297
우전과의 갈등 및 향도사의 설치 = 299
현방의 설움: 늑매라는 폭력력 = 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