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서론

1. 연구사 검토 및 문제제기
2. 연구대상과 방법

제2장 통신사행록의 텍스트 형성 방법과 글쓰기 방식

1. 일본정보 획득의 경로
1) 정보 제공자들과의 문답
2) 독서를 통한 정보 확충

2. 일본지식의 구체화를 위한 글쓰기
1) 세밀한 설명을 위한 개념의 구체화
2) 객관적 준거에 바탕을 둔 지식의 구체화
3. 일본지식의 효과적인 전달을 위한 글쓰기
1) 문견록의 관습적 글쓰기와 변이
2) 문견록과 일기의 유기성 강화

제3장 통신사행록에 내포된 일본 담론

1. 정치·외교적 담론
1) 天皇論
2) 對馬島論
3) 備倭論

2. 문학·학술 관련 담론
1) 文興論
2) 六經 傳來論
3) 古學論

제4장 일본지식의 영향과 의의

1. 반성적 자기 인식
2. 역사관의 정립과 학문의 지평 확대

제5장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