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총론
머리말

1부 사상지형의 전환
1장 3·1운동과 혁명적 민중폭력의 사상 _김영범(대구대학교 사회학과)
2장 3·1운동 시기의 ‘평화’사상 _이지원(대림대학교 인문사회계열)
3장 1920년대 전반 한국 언론에 나타난 ‘문화’의 의미 _허수(서울대학교 국사학과)
4장 ‘동포’와 이민족 사이: ‘일조동원론’과 인종 담론의 모순 _미쓰이 다카시(도쿄대학교 대학원 총합문화연구과)

2부 문화 주체의 다양화
5장 3·1운동과 정치 주체로서의 ‘여성’ _소현숙(한양대학교 비교역사문화연구소)
6장 3·1운동 직후 식민지 조선 지식인의 조선 미술 재발견 _류시현(광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7장 3·1운동 이후 ‘활동사진대회’를 통해 본 식민지 대중의 문화 체험과 감성공동체 _이하나(연세대 학교 미디어아트연구소)
8장 3·1운동과 단군문화 _이숙화(한국외국어대학교)
9장 3·1운동, 민족정체성, 역사문화 _이지원(대림대학교 인문사회계열)
10장 3·1운동, 죽음과 희생의 민족서사 _김정인(춘천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