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박물관과 뮤지엄샵
1. 박물관
2. 박물관과 작가 측면에서 뮤지엄샵의 기능과 역할
3. 이용자 및 사회적 측면에서 뮤지엄샵의 기능과 역할

제2장 뮤지엄샵의 현황과 방향
1. 뮤지엄샵에 대한 접근 현실
2. 변모하고 있는 세계의 박물관과 뮤지엄샵
3. 뮤지엄샵에 대한 접근 방향과 개설 필요성

제3장 뮤지엄샵의 계획과 목표 설정
1. 경영측면에서 뮤지엄샵에 대한 이해
2. 뮤지엄샵의 개설에 따른 수익성 분석
3. 경영 이념과 목표 설정

제4장 뮤지엄샵의 인력
1. 뮤지엄샵 근무자들의 역할
2. 뮤지엄샵 직원 육성과 교육
3. 지방 박물관에서 인력 확보와 운영

제5장 뮤지엄샵 상품의 구색과 개발
1. 상품의 의의와 계획
2. 상품의 구색과 종류
3. 상품의 개발

제6장 뮤지엄샵 상품의 구입과 진열
1. 상품의 구입처 선정과 구입량
2. 진열의 의의와 요령
3. 진열효과를 높이는 법

제7장 뮤지엄샵 상품의 가격
1. 가격 개념과 결정
2. 가격전략
3. 가격 책정

제8장 뮤지엄샵의 장소
1. 뮤지엄샵의 장소적 특성
2. 뮤지엄샵의 위치와 면적
3. 지역 박물관에서 장소의 마케팅화

제9장 뮤지엄샵 상품의 판매촉진
1. 촉진 전략
2. 인적판매
3. 통신 및 온라인 판매

제10장 뮤지엄샵의 고객관리 및 서비스
1. 고객의 유형과 구매동기
2. 고객관리
3. 고객 만족과 서비스

제11장 뮤지엄샵의 경영 분석과 대응
1. 경영분석의 필요성과 주체
2. 경영분석의 방법
3. SWOT 분석 및 분석결과에 대한 대응

제12장 한국천연염색박물관 뮤지엄샵의 운영 사례
1. 뮤지엄샵의 현황 및 소개 배경
2. 뮤지엄샵의 개설 배경
3. 뮤지엄샵의 공간, 시설 및 인력
4. 뮤지엄샵의 상품
5. 뮤지엄샵의 홍보 및 상품의 판촉활동
6. 집객 및 매출 증가와 이에 대한 거부감
7. 천연염색 전문 인력의 양성
8. 교육 강화에 의한 신규 소비 창출
9. 교구 및 납품 상품의 개발과 판매
10. 공방육성에 의한 규모화로 집객력 향상
11. 자격증 개설에 의한 새로운 시장 개척
12. 판매촉진과 수요 개발
13. 뮤지엄샵의 활성화에 따른 시각
14. 한국천연염색박물관 뮤지엄샵의 방향성

부록 Ⅰ: 도쿄도미술관의 뮤지엄 샵 설치 계획 공고
부록 Ⅱ: 타이완 이란현립 란양박물관 뮤지엄샵의 위탁공고